목조주택은 친화경적이다.
목조 구조의 주택과 철근콘크리트 구조의 주택 중 어느 쪽이 더 좋은가에 대한 궁금증을 가지고 시작합니다. 단단한 콘크리트가 좋다고 하는 분도 있고, 친환경 소재인 목조가 좋다고 하는 분도 있다. 목조주택 시공사는 100년이 넘은 목조주택도 많다고 얘기하고, 목조주택은 비에 취약해서 콘크리트 구조로 집을 지어야 한다는 분도 있다.
짬뽕 드실래요 짜장 드실래요?
질문을 다시 풀어 본다면 짜장면이 좋아요? 짬뽕이 좋아요? 라든가, 엄마가 좋아 아빠가 좋아 라는 질문이라고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어떤 땐 짬뽕이 좋고, 엄마가 좋고 했는데 TV에서 짜장을 맛나게 먹으면 짜장이 당기고, 엄마에게 꾸지람을 듣게 되면 아빠가 좋다고 얘기합니다. 우리 집 4살짜리 아이입니다. 조목조목 따지거나 구체적으로 묻지는 않습니다.
어떤 게 좋고 나쁘다고 판단하기 어렵고 그때그때 기분에 따라 비가 오는 날이면 짬뽕이 조금 더 생각날 수 있고, 오늘이 블랙데이라면 짜장면이 더 생각날 수 있다. TV속의 주인공이 짜장을 맛나게 먹으면 짜장이 당기는 날이 되는 것처럼 말입니다. 아토피가 심한 자녀를 둔 부모는 친환경적이라는 목조구조를 먼저 고민할 것이고, 오래가고 튼튼한 콘크리트가 제일이라고 생각하는 분도 있습니다.
제가 경험한 목조와 콘크리트 구조재에 대해서만 설명해 보겠습니다. 친환경에 대한 내용을 담아 보았습니다.
구분 | 목조 | 철근 콘크리트 | |
벽체 | 구조재 | 친환경 | 친환경 아님 |
보강자재 | - 못 : 철 또는 스텐레스 - 보강철물 : 철 또는 스텐레스 |
불필요 | |
단열재 | - 지붕 : 셀롤로스-종이(친환경) - 벽체 : 인슐레이션-유리섬유(친환경) ※ 절단 부분은 유리섬유가 노출됨 |
- 수성연질폼(친환경) - 비드폼단열재 |
|
투방습재 | - 폴리에틸렌 등(친환경) | - 비드폼 단열재 - 열반사 단열재 |
|
석고보드 | - 석고보드(친환경) | - 석고보드(친환경) | |
도배 / 페인트 | - 도배(친환경), 도배풀(친환경) | - 수성페인트(친환경) | |
마루 | - 원목마루(친환경) ※ 얇은판재를 친환경 본드 접합 - 원목마루 접착 본드(친환경) |
- 원목마루(친환경) ※ 얇은판재를 친환경 본드 접합 - 원목마루 접착 본드(친환경) |
|
바닥 | 방통 | - 콘크리트 | - 콘크리트 |
친환경은 상술인가요?
목조 주택이 친환경적이라는 부분은 동감합니다. 친환경 자재의 사용비중을 비교했을 때, 철근콘크리트 보다 친환경 자재의 비중이 많기 때문입니다. 시멘트에서 나오는 독성 물질이 워낙 많기 때문입니다. 철근콘크리트 주택의 새집증후군은 무시할 수 없습니다.
콘크리트 주택은 입주 전 여러 번의 베이크아웃을 해줘야 합니다. 물론 목조주택도 입주 전 여러 번의 베이크아웃을 해주는 것은 동일합니다. 친환경 자재를 더 많이 사용했을 뿐 목조주택도 콘크리트 방통을 하게 됩니다.
베이크아웃을 통해 콘크리트 및 마감재에서 나오는 유해물질을 날려 보내 주어야 합니다. 이렇듯 목조 주택은 철근콘크리트 주택에 비해 친환경적입니다.
목조주택 자체가 친환경적이지는 않습니다.
집을 짓고 전 목조 주택은 정말 친환경적이라고만 생각했었습니다. 어떤 자재를 사용해 마무리 하는지가 더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