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주택 시공과정

중정주택의 중정은 어떻게 만들어질까요? 중정주택 장단점 알아보기

정중동(靜中動) 2023. 9. 12. 10:38
반응형

중정주택의 장점은 외부의 시선을 차단할 수 있고, 내부로 햇볕을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기초를 만드는 과정부터 시공이 완료된 모습까지 중정을 만드는 과정을 설명해 드립니다. 주택 안쪽에 중정을 만들게 된다면 ㄱ자나 ㄷ자 구조에 비해 고려해야 할 사항이 많아지게 됩니다. 첫 번째가 배수가 될 것이고 두 번째가 단차가 아닌가 싶습니다.

설계 : 준아키텍츠 건축사문소 /  시공 : 이노엔테크
글쓴이 : 건축주

중정 설계도면(설계 : 준아키텍츠 건축사무소)
중정 설계도면(설계 : 준아키텍츠 건축사무소)

설계도면을 바닥에 두고 스티로폼을 잘라 만든 주택모형의 모습입니다. 2층 주택으로 1층(122제곱미터, 37평)과 2층(52제곱미터, 16평)으로 시공되는 현장입니다. 주택모형 중간에 중정이 위치해 있습니다.

중정이 있는 반곡역 중정집의 모형 입면
중정이 있는 반곡역 중정집의 모형 입면

중정은 시공사의 노하우와 현장 경험으로 만들어집니다. 설계가 완료 되면 시공사는 시공방법에 대해 고민하게 될 것입니다. 물 빠짐을 고려한 배관의 위치와 갯 수, 물의 흐름을 고려한 배수관의 방향 등 설계도면을 기초로 현장에 맞게 작업이 진행됩니다. 현장 소장이 설계도면에 맞춰 바닥면에 기초 단열재를 설치하고 있습니다. 기초단열재 중간에 비워진 부분은 중정이 위치하게 됩니다. 중정 버림 콘크리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중정을 제외한 기초단열재 공사 모습
중정을 제외한 기초단열재 공사 모습

버림 콘크리트와 기초단열재위에 가로와 세로로 철근을 엮는 작업을 합니다. 하부 철근을 만든 후, 배관과 전기선을 설치합니다. 중정 부분도 거푸집을 설치해야 하므로 자재, 인건비 등 공수가 많이 들 수밖에 없습니다. 기초 콘크리트는 중정의 단열재 높이까지 타설 되게 됩니다.

중정 거푸집 작업 모습
중정 거푸집 작업 모습

중정 단열재 높이까지 기초 콘크리트가 타설 되고 양생 된 현장입니다. 바닥면으로 배관과 전기선, 통신선을 연결할 수 있도록 플라스틱 파이프관이 보입니다. 곡선면을 유지하기 위해 곡선면에는 단열재가 직선 부분보다 높습니다. 기초콘크리트가 타설 되면 중정이 우물처럼 밑으로 꺼진 형태가 됩니다.

기초콘크리트 완료 후 중정의 모습

1층 구조가 완성된 모습입니다. 거푸집을 해체한 후 남쪽에서 서쪽을 바라본 모습입니다. 중정 공사를 위해 중정안쪽에 비계가 설치된 모습입니다. 중정에 설치된 비계는 치장벽돌이 끝날 때까지 계속 사용됩니다. 중정으로 빛이 들어와 거실끝쪽까지 환하게 보입니다. 중정의 최대 장점인 햇볕을 안쪽까지 끌어 들일 수 있게 되었습니다.

내부에서 바라본 중정의 모습
내부에서 바라본 중정의 모습

중정에 내려 사진을 찍은 모습입니다. 어두운 색의 단열재가 중정이 되는 공간입니다. 단열재는 동일한 제품으로 제품을 만드는 업체마다 색차이가 있습니다. 사용된 단열재는 비드폼 2종 1호입니다.

중정 안쪽에서 바라본 내부 벽체 모습
중정 안쪽에서 바라본 내부 벽체 모습

중정 벽돌 쌓기 작업을 진행합니다. 벽돌과 시멘트 반죽통이 보입니다. 안쪽과 바깥쪽에서 동시에 치장벽돌 쌓기가 진행됩니다. 

중정 치장벽돌 작업 모습
중정 치장벽돌 작업 모습

치장벽돌 사이에 중정 배관이 두 개 보입니다. 현장에서 예비용으로 배관을 뽑아 놓았는데, 완료 시점에 사용이 필요 없다고 판단되어 막음 처리하게 되었습니다. 사진으로 남겨두면 중정에 배관이 필요한 경우 사용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현장에서도 중정 물 빠짐을 많이 고민한 것 같습니다. 중정 물이 배수되지 않으면 주방까지 물이 올라오게 됩니다. 벽체에 있는 배관 높이까지 되메움 해 중정 바닥을 만들어 주는 작업이 진행됩니다.

중정 배관 모습
중정 배관 모습

중정 치장벽돌이 완료된 모습입니다. 중정 비계는 지붕공사까지 완료한 후 바닥공사 전 철거합니다.

치장벽돌 완료 중정 모습
치장벽돌 완료 중정 모습

건축주가 현장을 확인합니다. 건축주는 현장의 진행사항을 숙지해야 합니다. 오늘은 어떤 작업이 진행되었는지, 보완해야 할 부분은 없는지 확인 후 다음 공정 전에 현장소장에게 내용을 전달해 줘야 합니다. 문제가 될 부분이나 짚고 넘어가야 할 부분이라고 생각한다면 설계 감리에게 확인 요청해야 합니다. 두 번 공사하는 일을 줄일 수 있는 길입니다.

건축주 현장 확인
건축주 현장 확인

중정 바닥공사 전의 모습입니다. 중정의 물 처리를 위한 배관이 1개 설치되었습니다. 벽체에 있던 2개 배관은 막음 처리되었습니다. 최종 3개의 배수관은 1개 배수관으로 변경되었습니다. 중정 바닥 되메움을 위해 깨진 벽돌 등이 보입니다.

중정 우수배수관

넓지 않은 중정이 만들어졌습니다. 서쪽으로 넘어간 햇볕이 중정안쪽에 걸쳐 있습니다.

중정 벽체 모습

중정 중앙에서 1/3 지점에 배관을 설치한 모습입니다. 제물치장을 위한 사모래를 깔고 물이 흐를 수 있도록 경사를 만들어 줍니다. 왼쪽 벽체 쪽에 수도용 배수관이 있어 비상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중정에 위치한 배관은 마감 높이에 맞춰 잘라내게 됩니다.

중정 배수관 모습
중정 배수관 모습

무근콘크리트 구배 2%에 맞춰 제물치장을 완료한 중정의 모습입니다. 중정 바닥이 완성되었고, 비가 온 뒤 물흐름 경사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중정 관리를 쉽게 하고자 나무를 심지 않기로 하였습니다.

무근콘크리트 제물치장 후 중정 모습
무근콘크리트 제물치장 후 중정 모습

중정 데크설치를 위해 주방과 거실의 높이에 맞춰 아연각관 작업을 진행합니다.

중정 데크 설치를 위한 아연각관 작업
중정 데크 설치를 위한 아연각관 작업

2층에서 바라본 중정의 모습입니다. 중정 테크 작업을 위한 아연 각관 작업이 완료되었습니다. 여름 뜨거운 햇볕을 막기 위한 작업용 천막이 해먹처럼 보입니다.

2층에서 바라본 중정 모습
2층에서 바라본 중정 모습

중청 테크가 완성되었습니다. 테크 자재는 이페(IPE)를 사용하였습니다. 

2층에서 바라본 중정 모습
2층에서 바라본 중정 모습

 

 

물에 강한 이페 나무 데크와 히든 클립 시공

내구성이 강한 하드우드 중 이페 나무를 가공한 나무데크를 시공하였습니다. 중정은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 비와 직접적으로 닿는 곳으로 물에 강한 이페 나무 데크와 아이들이 뛰어놀 수 있도

ohause.tistory.com

파란 하늘에 구름이 살짝 걸친 중정 모습입니다. 햇볕을 거실과 주방 안쪽으로 가득 밀어주는 역할을 아주 잘하고 있습니다. 다. 

햇볕을 가득 담는 중정 모습
햇볕을 가득 담는 중정 모습

보라색 수국을 중정에 놓아 봤습니다. 중정의 단점으로 나뭇잎이 떨어지면 주워야 한다는 점입니다. 바람에 날려 가지 않습니다. 작은 잎의 남천은 마당에 옮겨 심었고, 올리브 나무를 가져다 놓았습니다.

중정에 수국과 남천 등 나무를 몇 그루 모습
중정에 수국과 남천 등 나무를 몇 그루 모습

어둠이 내리면 중정에서 간단하게 고기도 구워 먹을 수 있습니다. 

 

마치며. 

1년을 살아본 중점의 장점과 단점에 대해 이야기입니다. 중정의 단점으로 쓰레기나 나뭇잎이 중정에 들어온다고 하는데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그렇게 얘기하시는 분은 바람이 앉아 쉬는 곳에 집이 있는 것 같습니다. 물론 뱀이나 쥐도 들어오지 않습니다. 하루살이나 모기는 들어옵니다.

 

중정의 큰 창으로 겨울 난방비가 많이 든다고도 합니다. 물론 벽체로 꽁꽁 감싼 것보다는 추울 수 있습니다. 조금 비용이 들더라도 3중 시스템 창호를 사용하여 보완할 수 있습니다. 시공과 관리 포인트의 문제인 것 같습니다.

중정의 장점

  • 집 안쪽까지 밝은 빛이 닿아요. 
  • 아이들이 안전한 놀이터가 만들어졌어요. 중정을 가로질러 아이들 노는 모습을 볼 수 있어요. 
  • 치안에 도움이 돼요.
  • 잠옷만 입고 별을 볼 수 있는 공간이 있어요. 늦잠을 자고 잠옷 바람으로 느긋하게 커피 한 잔 마실 수 있어요.
  • 밤에도 커튼을 치지 않아도 돼요.(여름 방충망 뒤로 들리는 풀벌레 소리와 바람을 느낄 수 있어요.)
  • 생선 굽기가 겁나지 않아요.

단독주택의 장점과 공통점으로 가질 수 있는 부분

  • 계절을 느낄 수 있어요.(봄의 햇볕과 여름의 강열한 태양, 가을의 푸른 하늘, 겨울의 하얀 눈)
  • 빗소리를 들을 수 있어요. 시간을 느낄 수 있어요. 

중정 단점

  • 아직 없어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