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주택 시공과정

창문위의 벽돌 무게를 버티는 조적용 앵글철물 인방 시공

정중동(靜中動) 2023. 6. 29. 10:03
반응형

창문 위의 벽돌 무게를 버티는 조적용 앵글철물 인방 시공 과정입니다. 스틸(철)을 이용하여 개구부의 사이즈에 맞춰 자체 제작한 스틸 인방(steel lintel)입니다. 인방은 4각으로 열린 개구부에서 2개의 가로 기둥을 잡아주는 세로 구조물을 가리킵니다. 위쪽에 있으면 상인방, 아래쪽에 있으면 하인방이라고 합니다. 개구부가 창문이 아니라 들락날락하는 문인 경우 아래쪽 인방을 문지방이라고 합니다.

완성 창호의 모습


현장은 일체타설 시공으로 거푸집에 외단열재를 부착한 후 콘크리트 타설을 진행하였습니다. 창호 기밀시공이 어려운 일체타설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개구부 창호 기밀작업을 위한 단열재 부착을 고려하여 진행하였습니다. 

설계 : 준아키텍츠건축사무소 / 시공 : 이노앤테크
글쓴이 : 건축주

설계도 설명

  • 벽돌치장 쌓기(190x90x57)
  • 통기층 30mm
  • T200 비드법 단열재 2종 1호
  • 시트방수
  • T12 아연도 강판 제작 인방 / 방청도장
  • 투습방수 기밀 테이프
  • T150 철근 콘크리트 벽체

AW창호단면상세도
AW창호단면상세도

조적용 앵글철물

구조용/인방용 앵글 설치 개념도

가로가 긴 창문의 조적용 앵글철물을 부착한 모습입니다. 길이가 긴 경우 앵글철물 2개를 연결하여 설치합니다. 연결된 짤은 앵글철물은 인방날개가 없습니다. 인방 철물은 웨지앙카를 이용해 단단히 고정합니다.

T12 아연도 강판 제작 인방 / 방청도장

조적용 앵글철물은 창호의 사이즈에 맞춰 발주합니다.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L형 앵글에 인방날개가 추가되어 L자형 판이 아래로 쳐지는 현상을 줄여주는 구조입니다. 

조적용 앵글철물
조적용 앵글철물

조적용 앵글철물에 작은 태그가 부착되어 있습니다. 1층 14번이라고 쓰여 있습니다. 창문의 위치를 표시하여 다른 위치에 시공하는 실수를 줄이기 위함입니다.

조적용 앵글철물
조적용 앵글철물

인방 철물이 콘크리트 벽체와 직접 닿으면 안 됩니다.

조적용 인방 철물이 설치된 모습입니다. 인방 철물에서 타고 들어오는 열교를 줄이기 위해 콘크리트 벽체에 접착식 열반사시트지를 부착합니다. 열반사 시트지위에 웨지앙카를 이용하여 조적용 인방 철물을 고정합니다. 웨지앙카도 실리콘으로 도포하여 물이 안쪽으로 타고 들어가지 않게 해줘야 합니다.

조적용 인방 철물
조적용 인방 철물

인방 철물을 단열재로 다시 막아 줍니다. 물이 안쪽으로 타고 들어가지 않도록 마감작업을 해줘야 합니다. 철근콘크리트 주택의 경우 별도의 방수층이 없습니다. 외단열재가 방수재 역할을 하게 됩니다. 창문은 누수 하자가 많이 발생되는 위치입니다. 지붕을 타고 흐른 물이 첫 번째로 고이는 지점이 됩니다. 창호의 후레싱을 따라 안쪽으로 흐른 물은 단열재 틈을 타고 안으로 안으로 침투합니다. 작은 물은 콘크리트가 흡수하여 젖고 마르기를 반복하여 누수를 알 수 없습니다.
 
인방 철물을 단열재로 덮은 후, 우레탄폼을 사용하여 공간이 비지 않게 해 줍니다. 단열보다는 물의 흐름을 막는 게 중요해 보입니다. 

조적용 인방철물 단열재 마감
조적용 인방철물 단열재 마감

조적용 인방철물 위에 조적별돌을 올렸습니다. 조적의 수평선을 맞추기 위해 벽돌을 반으로 켜서 올려놓았습니다. 바닥부터 연결된 벽돌은 하중이 바닥에서부터 지탱될 수 있도록 하지만, 창호와 같이 열린 부분은 창호 상부에서 벽돌의 무게를 버텨야 합니다. 
 
넓은 창호의 경우, 조적용 인방 철물이 아래로 처지지 않도록 나무 각재를 이용하여 고정해 둡니다. 조적 벽돌이 양생 되기 전까지 고정목재를 이용해 인방철물이 휘어지지 않게 보호해 줍니다.

조적용 앵글철물 벽돌시공 모습
조적용 앵글철물 벽돌시공 모습

창호 전문 설치 업체에서 설치한 후, 접착식 열반사 시트지로 조적용 인방이 콘크리트 벽체와 바로 닿지 않도록 합니다. 조적용 인방 철물을 콘크리트 전용 볼트로 고정한 후 볼트를 실리콘으로 마감합니다. 단열재를 부착하여 창호틀까지 단열 작업을 합니다. 단열재 사이로 물이나 습기가 통하지 않도록 우레탄폼으로 꼼꼼하게 붙여 줍니다. 공간이 발생된 부분이 있다면 반드시 실리콘 도포하여 습기가 안쪽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조적용 앵글철물 벽돌시공 모습
조적용 앵글철물 시공 모습

개구부가 넓은 창문이 있는 곳의 조적용 인방 철물의 모습입니다. 2개를 연결하여 사용합니다. 가운데 연결지점이 보입니다. 인방 철물 위쪽의 벽돌 하중을 버텨야 합니다.

2개로 연결된 조적용 앵글철물

인방 철물(상인방)은 양쪽 조적벽돌 위쪽에 걸쳐서 힘을 지탱하는 방식으로 개구부보다 길게 제작되어 설치되는 구조입니다. 인방 상부의 조적 벽돌은 인방 철물의 두께를 고려하여 절단해서 시공됩니다. 창호가 많은 현장의 경우, 벽돌 켜는 소리가 많이 납니다.

벽돌에 올려 힘을 받는 구조인 조적용 앵글

창문 상부와 하부를 T30 사비석을 이용해 마감합니다. 사비석과 마감면에는 외부용 실란트 마감합니다. 아래 사진의 왼쪽은 사비석으로 마감된 창문의 모습이고, 하단 오른쪽 창문은 사비석 마감전의 모습입니다.

창문 사미석 마감 전후 모습
창문 사미석 마감 전후 모습

조적용 인방 철물이 보이지 않도록 사비석을 이용하여 마감한 모습입니다. PVC 창호의 튀어 나 온면을 따라 사비석을 잘라서 붙인 모습입니다. 사비석을 따라 실란트 마감 처리를 합니다.

사비석 마감

마치며.

창문과 같이 개구부가 있는 경우 상인방은 창문 위에 얹힌 벽돌의 하중을 받게 됩니다. 상인방은 양쪽 벽돌이나 기둥으로 힘을 분산하고, 수평을 유지해야 하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상인방이 무너지거나 휘게 된다면 창문 주변의 벽돌 매지가 갈라지게 됩니다. 더 나아가 벽돌이 아래로 떨어지는 사고가 발생될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