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크리트 연결 철물의 열교를 줄이기 위한 내부 단열 보강
열교 발생 부분은 온도차로 인해 결로가 생기게 됩니다. 외부 냉기와 열기가 내부로 전달되므로 이를 줄이기 위한 에너지 비용이 들게 됩니다. 콘크리트 연결 철물의 열교를 줄이기 위한 내부 단열 보강 모습입니다. 설계도면에 맞춰 현장에서는 비드법 단열재와 열반사 접착시트를 이용해 열교를 조금이나마 줄이고자 했습니다.
설계도면 설명

지붕 외단열 현장입니다. 경사지붕 설치를 위해 아연각관을 이용해 기둥을 세웁니다. 지붕 단열재 아래 ㅗ자 모양의 튀어나온 부분이 주초입니다. 주초는 콘크리트 지붕과 연결되며 주초까지 단열재가 감싸고 있습니다.
열교전달
주초와 연결된 아연각관 기둥이 단열재를 지나 주초까지 연결되게 됩니다. 아연각관은 내부가 비어 있는 구조입니다. 냉기는 아연각관을 타고 거실 천장까지 전달되게 됩니다.
열교를 줄이기 위해
주초하부 단열보강을 합니다. T20 열반사 단열재를 주초를 중심으로 양쪽으로 500mm 부착합니다. 거실과 주방의 개구부도 단열보강 합니다.
현장 설명
개구부는 열반사 단열재를 부착합니다. 개구부 단열보강을 위해 비드법 단열재 T30을 열반사 단열재 위에 추가합니다. 설계도면에는 없는 공정으로 현장 여건에 맞게 보강되었습니다.

정면 개구부는 열반사 단열재와 비드법 단열재가 추가되어 마무리되었습니다. 천정은 1000 * 1000mm T30 비드법 단열재를 천정에 부착되었습니다.

북측 주방 벽체와 창문의 모습입니다. 북쪽의 경우 벽면 전체를 T30 비드법 단열재로 단열 보강합니다.

마치며.
단열을 놓치면 여름에 덥고, 겨울에 추운 집이 됩니다. 단열을 하기 위해서는 열교가 생기는 위치를 알고 대처해야 합니다. 집짓기 기본이 되는 외단열과 내단열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지붕까지 외단열인지 내단열인지도 알아야 하고, 단열재가 어디서 끊어지는지도 알아야 합니다. 외관 마감을 위해 단열재를 뚫고 들어오는 고정용 앙카도 확인해야 합니다.
일체타설 단열재 폼타이 제거를 통한 점성열교 줄이기
일체타설은 거푸집 안쪽에 단열재를 미리 부착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 하여 단열재와 콘크리트 면이 밀착할 수 있도록 합니다. 거푸집 설치와 동시에 거푸집 벽체에 단열재를 부착하므로 시공기
ohause.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