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주택 시공과정

매립수납장 시공과정

정중동(靜中動) 2023. 3. 21. 09:18
반응형

사용 만족도가 높은 매립수납장입니다. 자칫 빛이 부족하고, 협소한 공간이 될 뻔한 공간을 아이디어를 통해 슬기롭게 해결했다고 생각합니다. 세탁실 - 샤워실이 연결되어 하나의 유닛(Unit)이 되는데, 매립수납장은 샤워실 앞쪽에 위치해 있습니다. 매립수납장 외부는 단열재와 붙어 있습니다. 콘크리트 벽체가 없습니다. 시공은 창호와 동일하게 창호틀을 사전에 만들어 고정한 후 콘크리트를 부어 만드는 과정을 진행해야 합니다.

매립수납장(설계 : 준아키텍츠 건축사무소)

매립수납장 하단은 FIX창호가 설치되어 빛을 안으로 끌어 들일뿐 아니라 공간이 넓게 보이는 효과를 줍니다.

투명 유리로 설치하여 사용하였는데, 샤워실이 거실에서 잘 보이는 관계로 불투명 시트지 작업을 했습니다. 

 

매립수납장의 단면도에 T9방수합판 콘크리트 일체타설을 통해 합판면이 콘크리트 벽체와 고정되게 의도하였으나, 사전 매립수납장 설치 누락으로 후작업 시행하게 됩니다.  후작업으로 T9방수합판 없이  시공과정에서 마감작업 됩니다.

이때도 T9방수합판이 설치되지 않아 시공사에 확인 요청하게 됩니다.

한 번 꼬인 부분은 계속 꼬이게 됩니다.

매립수납장(설계 : 준아키텍츠)

외부단열재를 두고 틀을 만들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틀을 만들지 않고 거푸집을 시공해 버립니다. 거푸집을 해체하고, 철근을 제거한 후 틀작업을 다시 합니다. 단열재로 튀어나온 프레타이 때문에 T9방수합판 시공이 어렵습니다.

대각선의 보강근이 보이지 않습니다.

 

거푸집 해체 후 재시공으로 보강근 설치가 어렵습니다.  감리를 통해 보강근 설치를 확인합니다.

매립수납장 틀

거푸집을 제거한 매립수납장 모습입니다. 창문 같이 힘을 받을 수 있도록 각재 받침으로 만들어져 있습니다.

매립수납장 틀

매립수납장 틀을 제거하였습니다.  단열재 위치에 매립수납장이 설치됩니다.  단열재와 콘크리트 벽체 밀착도가 좋습니다.  프레타이를 제거한 곳으로 빛이 조금씩 들어옵니다. 프레타이 구멍마다 파란색 락카로 마킹해 둡니다.  실리콘 작업이 필요한 곳입니다. 

완성된 모습입니다. 매립수납장 틀과 하단 FIX창이 잘 설치되었습니다. 매립수납장의 제작가구는 건축주 몫입니다. 건축주가 사용하기 편하도록 디자인을 잘 뽑아야 합니다.  

매립수납장 시공 완료 모습

세탁실에서 바라본 매립수납장 모습입니다. 이동 동선이 전혀 좁지 않습니다.

T9 방수합판이 있어야 할 자리에 물에 취약한 보드판으로 부착되어 있습니다.  시공사에 물에 취약한 보드판을 달아 놓았는데 괜찮을지 물어봅니다. 단열재 마감작업을 잘해서 습기가 안으로 치고 들어오지 않을 거라고 합니다.  양보하고 넘어가야겠습니다. 아직 해야 할 일들이 많습니다.

매립수납장 마감

매립수납장과 하단 FIX창 만족도가 높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