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테일을 살린 철제 간이 철문
서쪽 대지경계로부터 1m 이격 거리를 두고, 북쪽과 남쪽으로 길게 연결된 통로입니다. 철제 대문 안쪽에는 중정으로 연결되는 계단이 있습니다. 담장 하부에 석재를 둘러 벽돌을 받치는 역할의 재료분리 작업을 하였습니다. 재료 분리로 인한 튀어나옴으로 인해 디테일을 살린 간이 철문이 되었습니다.
서쪽 통로 가스배관과 계량기, 보일러 연통, 외부 전등이 있습니다. 철제 담장은 녹방지용 페인트가 칠해져 있어 붉게 보입니다. 녹방지 페이트가 벽돌에 묻을 수 있어 비닐 보양 처리를 하였습니다. 벽돌을 받치는 석재가 튀어나와 ㄷ자 모양의 철문 라인이 잡혔습니다.
간이 철문은 별도 시건장치를 하지 않고, 외부나 내부에서 쉽게 열고 닫을 수 있는 고리형 잠금장치를 부착했습니다. 원리가 단순해 사용도 쉽고, 망가지지 않습니다.
지정색 도색 완료 후 철문의 모습입니다. 간이철문 잠금장치의 모습입니다. 왼쪽 벽체에는 잠금장치 고정용 ㄷ자 모양의 굵은 철사입니다.
고정용 철물과 잠금장치가 결합된 모습입니다. 철제에 방청페이트와 도색을 하였으므로 걸쇠 손잡이와 고정용 철물이 맞닿는 곳은 도색이 벗겨지게 됩니다.
마치며.
수작업으로 자르고, 구부리고 용접해 만든 철문으로 만족도가 높습니다. 철이라 맞닿는 곳은 녹이 생기지만 크게 거슬리지 않습니다.
설계도면으로 설명하는 철제 제작 담장 만들기
설계도면으로 설명하는 철제 제작 담장 만들기 과정입니다. 도시계획에 따라 담장 높이는 1.2m로 안쪽 마당이 외부에서 보여야 합니다. 또는 나무를 심는 생울타리 담장도 가능합니다. 현장은 설
ohause.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