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도면으로 설명하는 열회수환기장치 배관 시공
설계도면으로 설명하는 전열교환기 배관 시공 현장 모습입니다. 배관시공은 열회수환기장치 구입업체를 통해 진행하였습니다. 열회수환기장치만큼 중요한 배관 설계와 관리에 대해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환기장치의 성능이 아무리 좋아도 배관 상태가 좋지 않다면 100% 성능 발휘가 어려울 것입니다.
열회수환기장치 환기설계
설계 : 준아키텍츠 건축사무소 / 시공 : 이노앤테크 / 환기 : 잡자재
글쓴이 : 건축주
업체와 이해관계가 없는 글입니다.
열회수환기장치의 성능을 최적화하기 위해 환기설계를 진행합니다. 설계를 담당했던 건축사무소에서 감리를 진행하여 보다 수월하게 공사를 진행할 수 있었습니다. 건축주의 개입 없이 건축설계사무소와 환기시공사간 도면 전달이 수월했고, 설계사무소에서 생각하는 최종 마감에 대한 이해과정을 진행하게 됩니다.
아래 보이는 사진은 도면에 보이지 않지만 인테리어 마감이 진행된 모습입니다. 도면에서 표시되지 않는 부분으로 설계사무소에서는 배관의 마감상태를 천정 벽부형으로 선택하여, 흡입구 천정 노출을 최소한으로 줄이고자 하였습니다.
환기설계 도면의 모습입니다. 급기 구역과 회기 구역을 나누어 ㅁ자 구조에 맞게 환기 설계를 하였습니다. 외부의 깨끗한 공기는 거실과 안방을 통해 들어와 드레스룸, 목욕실, 화장실과 거실의 냄새를 가지고 밖으로 배출되는 구조입니다.
배관이 지나가면 안 되는 영역을 표시하였습니다. 파란색 선을 외부에서 내부로 들어오는 상태를 그려놓았습니다. 빨간 선은 내부의 공기를 밖으로 배출하는 선입니다. 같은 공간의 경우 흡기와 배기를 일정 거리를 두고 설치하게 됩니다. 그러나 이 현장의 경우 거실과 안방은 외부공기를 끌어들이기만 했고, 위생시설과 주방은 내부공기를 외부로 보내는 환기장치만 설계되었습니다. 내부 전체가 ㅁ자의 순환 구조라 가능할 것 같습니다.
환기설계가 완료 되면 시공이 진행됩니다. 현장에 연두색의 항균 정전기 방지 배관과 파란색 무균 배관이 도착했습니다. 연두색은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넣는 배관이고, 파란색은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보내는 배관입니다.
- 연두색 배관 [급기용] : 외부 → 내부(설계도면의 파란색)
- 파란색 배관 [회기용] : 내부 → 외부(설계도면의 빨간색)
파란색 배관이 하늘을 연상하는 색이라 깨끗한 공기일 것 같지만, 연두색 배관이 깨끗한 공기입니다.
7구 흡음공기 분배기입니다.
공기분배기에 연결된 급기용 환기배관의 모습입니다. 가격이 조금 저렴한 알루미늄 테이프로 기밀처리 되어 있습니다. 연두색의 배관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외부의 깨끗한 공기가 들어오는 분배기임을 알 수 있습니다.
내부 공기를 밖으로 보내는 회기용 파란색 배관이 천정에 설치되어 있습니다. 배관 안쪽에 검은색의 에어컨 배관이 먼저 설치되어 있습니다. 에어컨 배관은 구부리거나 휘어짐이 많을 경우 성능에 영향을 미치기 쉬우므로 에어컨배관 설치 후 환기배관을 설치하는 순으로 진행해야 합니다.
연두색 배관 끝에 검은색의 디퓨저 배관 연결관과 흰색 소켓이 연결되어 있습니다. 배관으로 공사 먼지가 들어갈 수 있으므로 비닐로 디퓨저 배관을 밀봉했습니다.
디퓨저 배관 연결 소켓을 비닐로 감싼 모습입니다. 공사 현장을 이해하는 시공사입니다.
주방 상부 천정의 모습입니다. 연두색의 급기용 배관과 파란색의 회기용 배관이 보입니다. 배관 끝에는 디퓨저 배관이 연결되어 있고 비닐로 감싸 놓았습니다. 콘크리트 보를 기준으로 검은색 에어컨 배관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또한 2층으로 연결된 상하수도 배관이 천정 전체를 따라 ㄱ자 모양으로 설치되어 있습니다.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보내는 회기용 공기 분배기의 모습입니다. 파란색의 회기 배관이 각각 연결되어 있고, 열회수환기 장치로 연결되는 굵은 회기관이 연결되어 있습니다.
점검구도 빼놓지 않고 만들어 줘야 합니다. 공기분배기를 기준으로 점검구 위치를 잡습니다.
열회수환기장치를 구입하기 전이라면
열회수환기장치를 고민하고 있다면 대부분 저와 같은 고민을 하셨을 것입니다. 이 글을 읽고 있다면 그보다 좀 더 많은 고민을 하셨을 것입니다. 독일 제품이 제일 좋다고 하지만 가격이 비싸고, 국산은 믿음이 안 가고, 예산은 얼마인데 더 좋은 제품을 하고 싶은 그러한 고민들 말입니다.
- 필터는 주기적으로 교체해 줘야 한다는데 필터 교체 비용도 만만치 않을 것 습니다.
- 시스템은 안정적이고 하자가 없으며 관리는 편한 제품이었으면 좋겠습니다.
열회수환기장치를 구입하기 위해, 국내 제품과 외국 제품에 대해 많은 정보를 찾게 됩니다. 제품에 대한 비교를 통해 가성비가 좋거나 성능이 뛰어난 제품을 선택하게 됩니다. 한국패시브건축협회의 피코네(PHIKO NET)에서 국산 제품에 대한 제조사별 비교 내용이 담긴 YouTube를 참고하시면 도움이 됩니다. 외산제품에 대한 비교가 없어서 아쉬움은 있습니다.
마치며.
열회수환기장치의 시작과 끝은 배관 시공에 있습니다. 아무리 값비싼 제품이라도 배관이 엉망이면 그 성능을 십분 발휘하기 어렵습니다. 배관을 타고 먼지나 곰팡이가 흡입된다면 열은 회수되겠지만, 내가 숨 쉬는 공기는 엉망이 되고 맙니다. 열회수환기장치는 열회수 + 환기 두 마리 토끼를 잡는 장치입니다. 한 마리만 잡아야 한다면 환기를 잡고 싶습니다.
아직 바깥바람이 좋습니다. 창문만 열어도 상쾌해지는 날입니다.
컴포벤트(komfovent 450) 전열교환기
사용 중인 컴포벤트 450에 대해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제작국가는 리투아니아입니다. 전열교환기 또는 열회수 환기장치로 불리는 어려운 이름입니다. 왼쪽 검은색 LUFTBOX는 3개의 필터가 들어가
ohause.tistory.com
전열교환기 필터 교체(필터박스)
전열교환기(열회수환기장치) 필터교체 이야기입니다. 전열교환기는 외부 공기와 내부 공기를 강제 순환 시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오늘은 사용 중인 제품의 필터 교체 전과 후를 비교하면서 설
ohause.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