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템 윈도우 설치 과정
알루미늄 프레임을 모두 사용한다면 공사 예산을 훌쩍 넘어가게 됩니다. 대안으로 햇볕이 닿는 곳은 필로브 알루미늄 창호를 설치하고 북쪽과 동, 서쪽은 플라스틱 소재의 PVC 창호를 설치하기로 했습니다. PVC 프레임은 알루미늄 창호에 비해 테두리가 두껍습니다. 테두리 레핑을 통해 색처리를 하므로, 접합 부분에 레핑 흔적이 보입니다.
시스템창호 업체와 이해관계가 없는 시공 후기입니다.
설계 : 준아키텍츠 건축사무소 / 시공 : 이노 앤 테크
글쓴이 : 건축주
시스템 창호는 크게 독일식과 미국식으로 나누게 됩니다. 살라만더는 프로파일 생산과 설계 업체로 독일 기업입니다. PVC 프로파일을 독일 현지에서 100% 수입한 후, 주택 설계에 맞춰 국내에서 제단 및 접합 공정을 진행합니다
개방 방식에 따른 미국식, 독일식 창호 구분
- 아래위로 개방한다면 미국식, 안으로 문을 당겨 개방한다면 독일식으로 쉽게 나눌 수 있지만 기술개발에 따라 이러한 분류도 변경될 수 있습니다.
- 국내 시스템창호는 창문 부딪힘을 줄이고, 안쪽 공간 사용을 위해 밖으로 개방되는 방식을 많이 사용합니다.
- 단열 성능은 개폐방식보다는 제품 성능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내부에서 본 주방 창문 모습입니다. 왼쪽 고정창과 오른쪽의 틸트&턴 방식의 창문입니다.(T/T-FIX) PVC 프레임 자체색인 흰색을 그대로 사용했으며, 프레임 보호용 시트지가 붙어 있습니다. 문고리는 녹색의 플라스틱 보호 커버가 덮여 있습니다. 손잡이는 중간보다 아래로 설치해 싱크대 끝에서 손이 쉽게 닿을 수 있는 위치로 정했습니다.
LOW-E 3중 유리 / TPS(Thermo Plastic Spacer) 열가소성 플라스틱 간봉
LOW-E 3중 유리에는 SR FENSTER 로고가 있습니다. 에스알펜스터(SR FENSTER )는 살라만더 한국 본사의 이름입니다. 3중 유리를 감싸고 있는 단열간봉은 TPS단열간봉과 알루미늄 간봉, 플라스틱 단열간봉, 슈퍼스페이서 간봉 등을 사용합니다. 현장은 TPS단열간봉(플라스틱)입니다. TPS단열간봉이 알루미늄 간봉보다 단열성능이 좋습니다.
- 창호 : 살라만더 SALAMANDER bE82 PVC 44mm LOW-E 3중 유리
설계도면에 창호 설계가 포함되어야 하는 이유
설계도면에 각 창호의 시작위치와 넓이, 폭의 사이즈가 정해져 있습니다. 도면 하단에는 제품모델명과 개폐방식, 제품 소재, 내부/외부색, 제품 규격(44mm LOW-E 3중 유리 / 부속물일체), 설치 위치가 표시되어 있습니다.
- 설계도면에 창호 부분만 별도 표시하여 시공 실수를 줄입니다.
- 도면의 모델명과 치수, 제품규격이 정해 있으므로 건축주는 설치 제품 불만이 없습니다.
- 시공사는 도면을 기준으로 제품을 설치하므로 정확한 시공 마진을 책정할 수 있습니다.
- 건축주는 시공사의 고무줄 견적을 예방할 수 있고, 시공사는 정확한 견적을 건축주에게 제공해 줄 수 있습니다.
시스템 창호 설치 모습
콘크리트 벽체의 개구부가 창호보다 큰 경우입니다. 창호의 시작위치는 도면에 정해져 있으므로, 바닥 마감면부터 높이를 확인하여 벽체에 십자(+) 자 표시를 합니다. 시작위치를 기준으로 창호가 설치됩니다. 벽체 개구부가 큰 경우, 창호 설치 후 막음 처리를 합니다. 개구부가 작을 경우 그라인더를 이용해 잘라내야 합니다.
창호 시작위치를 잘못 잡은 모습입니다. 도면의 시작 위치만큼 창호를 받치는 플라스틱 지지대를 쌓아 올렸습니다. 플라스틱 지지대는 단열이 되는 제품이 아닙니다. 힘을 받아 창호를 고정하는 용도입니다. 우레탄폼 충진이 어려울 만큼 차이가 난다면 벽돌을 자른 후 벽돌 쌓기를 해야 합니다. 시멘트 미장 마무리를 통해 누수를 방지해야 합니다.
주문한 창문보다 개구부를 넓게 뚫은 경우입니다. 창호를 설치하고 오른쪽 여백은 벽돌로 마감작업을 해야 합니다. 시스템창 고정못을 이용해 벽체에 고정시켰습니다. 창호 설치까지 창호업체의 역할입니다. 빈 공간의 메꿈 처리는 시공사에서 처리해야 합니다. 우레탄 채움과 방수테이프 마감까지 처리해야 합니다. 시공사의 일이 늘어나게 되었습니다.
외부에서 바라본 창호 마감 모습입니다. 창호 설치 후 우레탄폼을 채우게 됩니다. 튀어나온 우레탄폼을 잘라내고 평탄화한 후, 기밀작업을 합니다. 그러나, 현실은 조금 다릅니다.
- 한 쪽면(외부)에 기밀테이프를 미리 붙여 버립니다.
- 내부에서 우레탄폼을 채웁니다. 안쪽면으로 튀어나온 우레탄폼을 잘라 평탄화합니다.
- 안쪽 기밀테이프를 붙입니다.
기밀테이프는 Hanno DUO Easy 180을 사용했습니다. (판매사의 Hanno DUO Easy 180 제품설명)
- 목조 / R.C 등 모든 건물의 내/외부 모두 사용이 가능합니다.
- DUO Easy 180은 낮은 온도 -10℃ 에서도 설치가 가능합니다
오늘은 1월 16일입니다. 시공현장을 확인해 봅니다. 창호와 맞닿는 곳으로 기밀테이프가 붙어 있습니다. 테이프 하단부의 검은색은 테이프 떨어짐을 방지하기 위해 접착 자재를 도포했습니다.
시스템창호의 기밀테이프 하단부위는 마감 부분입니다. 튀어나온 마감으로 대각선으로 붙임처리한 기밀테이프에 공간이 생겼습니다. 그나마 기밀과는 상관없어 보입니다.
시스템 창호 시공팀 역할이 끝났습니다. 이제부터 설계도면에 맞춰 시공사에서 마감 처리를 합니다. 기밀 테이프를 부착한 면에 열반사 접착시트지를 붙입니다. 기밀테이프를 밀착시키고, 누수를 방지합니다. 열반사 시트지는 창문 후레싱 설치를 위한 기본작업이 됩니다. 열반사 시트지 위로 단열재를 부착합니다.
열반사 접착시트에 단열재를 부착합니다. 단열작업 후 벽돌 쌓기를 진행합니다.
내부에서 설치된 창호의 모습입니다. 기밀 테이프 마감면 위에 열반사 접착시트를 붙여 열교를 줄일 수 있도록 했습니다.
내부 목공작업이 진행되는 모습입니다. 합판 마감전 열반사 시트로 창호 주변의 열교를 막아 줄 수 있도록 합니다.
열반사 접착 시트가 마감된 측면의 모습입니다. 열반사 접착 시트지를 붙여 창호 주변의 열교를 줄일 수 있도록 했습니다.
내부 목공 마감이 완료된 모습입니다. 창틀 합판재가 고정되도록 각재를 이용해 고정합니다.
내부 페인트 마감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페인트 번짐을 예방하기 위해 비닐 작업이 된 모습입니다.
살라만더 시스템 창은 안쪽으로 문이 열리게 됩니다. 안쪽 벽체와 90도로 세워지므로, 90도 이상 꺾임이 발생되면 벽체 손상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설계 시 고려해야 하는 부분입니다. 창호가 안쪽으로 열리는 방식으로 열어둔 상태에서 부딪치면 사고가 발생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시스템 창호의 경우, 환기장치를 설치해 창문 개방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습니다.
콘크리트 개구부 수선
콘크리트 개구부 구멍 메움 내용을 공유합니다. 콘크리트 타설 후 개구부가 작거나 없는 경우, 전통드릴을 이용해 구멍을 뚫고 절달기로 자르는 작업을 합니다. 그리고 면 고르기로 마무리하게
ohause.tistory.com
콘크리트 창문 수정
콘크리트 골조가 완성 된 후, 실측을 통하 창문 수정을 보완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설계도면의 창문의 사이즈를 확인하여 현장에서 제작 합니다. 1600 x 1450 짜리 창호 틀을 만듭니다. 설계도면
ohause.tistory.com
마치며.
성능이 뛰어난 시스템 창호도 시공 하자가 발생된다면, 일반 PVC 창호보다 성능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건축주나 현장감독은 창호 시공 과정을 확인하고, 점검해야 합니다. 알아서 잘해주는 곳은 많지 않습니다.
필로브 FILOBE (설치 동영상 포함)
필로브 시스템 윈도우(FILOBE system window)의 시공사례를 찾을 수 없어, 현장 시공과정을 담아 보았습니다. 에비 건축주분께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설치한 제품은 필로브 911 제품으로 알루미늄
ohause.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