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주택 시공과정

거푸집 해체 후 리얼 2

정중동(靜中動) 2023. 3. 30. 08:58
반응형

거푸집을 해체하고 계단을 따라 2층 공간으로 이동합니다. 계단 오른쪽에 색이 조금 진한 시멘트 자국이 보입니다.  콘크리트 타설 과정에서 공간이 비워졌나 봅니다.  시멘트 덧방 자국입니다. 공극이 생기지 않게 바이브레이터 작업이 부족했던 부분인 것 같습니다. 

 

거푸집 해체 후 리얼 이전글 바로가기

계단실

계단 상부 모습입니다.  외단열재가 보이고 1층에서 연결된 철물이 노출되어 보입니다.

계단실 상부의 전체적 모습입니다.  오른쪽으로 길게 단열재가 보이고 콘크리트 벽체가 계단형으로 보입니다.  계단실 공간의 거푸집 설치가 다른 곳보다 어려운 것 같습니다. 거푸집을 떼어낸 벽체는 품질이 좋아 보입니다.

계단실 상부 콘크리트면

1층 지붕 위의 모습입니다. 지붕을 세우기 위한 주초를 미리 시공한 후 콘크리트 타설이 진행되었습니다.

주초를 이용한 지붕 시공 설명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가능합니다.

1층 평지붕

1층에서 바라본 중정의 모습입니다.  중정 곡선 부분은 판재를 둘러 부드러운 곡선이 만들어지도록 했습니다.

곡선처리

2층 거푸집 작업을 위한 비계가 설치되고 있습니다.

비계설치

1층 파라펫입니다.  파라펫 일체타설로 평지붕 누수를 막고자 했습니다.  일체타설할 수 있는 높이가 생각보다 낮습니다.  높은 곳의 콘크리트 타설물이 아래로 흐르기 때문입니다. 파라펫 연결부위 크랙방지를 줄이고자 시공사에서 높일 수 있는 만큼 파라펫 일체타설 시공 현장입니다. 

1층 파라펫 기초단

지붕 아연각관 기둥이 세워질 주초도 콘크리트 타설이 완료되어 있습니다.

주초 시공방법은 글 마지막 콘크리트 박공지붕 바로가기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주초

콘크리트 타설 위에 물이 고여 있습니다.  양생 중 비가 오면서 양생품질을 높여줬습니다.  기온이 높고 건조할 경우 콘크리트 양생 과정에 셔 빠르게 굳어지는 현상이 발생됩니다.  이때 콘크리트 표면에 크랙이 발생됩니다.  콘크리트가 빠르게 굳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비닐을 덮고 비닐 안쪽과 위쪽에 물을 뿌려 건조과정을 늦춰줍니다.

고인물 구배가 확인

물이 고여있는 부분의 파라펫 시공 모습입니다.  타설 후 수작업 처리 느낌이 납니다. 깔끔하게 파라펫 일체타설이 어렵나 봅니다.

파라펫 일체타설

평지붕도 배수구를 만들고 구배를 잡아줘야 합니다.  가을비가 내려 구배를 확인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물이 흐를 정도는 아니지만 배수구 방향으로 물이 모여 있습니다.  남아 있는 물은 자연증발 될 것 같습니다.

평지붕 구배확인

중정 곡선부는 거푸집 연결작업이 되어 있습니다. 중정의 거푸집은 아직 해체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안쪽 벽체 부분이라 양생 시간을 조금 더 주는 것 같습니다.

중정 거푸집

중정 가운데 비계를 설치하고 작업합니다.  중정구조는 벽체의 면적도 넓을 뿐만 아니라, 중정 작업을 위한 비계설치 등 공사품이 더 들어갑니다.

중정 비계설치

중정 거푸집 모습입니다. 거푸집 안쪽으로 단열재가 미리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 하는 일체타설 방법을 사용한 현장입니다. 일체타설의 장/단점에 대한 내용은 제가 작성한 아래 링크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중정 거푸집 일체타설

일체타설의 단점인 시멘트물에 의한 선형열교를 줄이고자 우레탄폼 메꿈 처리를 했습니다. 일체타설은 콘크리트 특성을 잘 활용해  낮은 쪽으로 시멘트물 배출이 될 수 있도록 고려해야 합니다.  그러나, 단열재 틈으로 시멘트물(시멘트 페이스트)이 흘러나오는 곳이 몇 군데 확인됩니다.

단열재 우레탄폼 처리

콘크리트 마감상태와 단열재의 부착상태, 지붕의 구배 등을 확인합니다.  단열재는 콘크리트 마감보다 높게 올라와 있어야 합니다.

외단열 마감재

1층 지붕의 주초 모습과 배수구가 있는 곳으로 물이 고여 있습니다.   

구배확인

각재 맞춤으로 콘크리트 타설 높이를 맞춥니다.  왼쪽은 2층 위생시설 구역입니다. 사모래 및 방수, 타일 높이를 고려해야 합니다.  슬리퍼를 두고 욕실문이 걸리지 않는 높이를 계산하여 다운시킵니다. 

2층 욕실

2층 욕실 배관이 보입니다.  욕실은 밤에도 물소리가 나는 곳이므로 아래층에 어떤 구역을 둘지 설계단계에서 고려해야 합니다. 이 현장은 아래층이 주방 위치가 됩니다.  

2층 욕실

욕실 다운에 실패한 현장이 생각보다 많습니다.
  • 슬리퍼를 욕실문 멀리 벗어야 하는 곳
  • 슬리퍼를 끌고 다니는 문
  • 문틀을 반대로 설치한 문(밀어야 하는데 당기게 설치된 문)
  • 슬리퍼가 걸릴까 봐 낭떠러지를 만든 문

2층 욕실이 다운되는 깊이만큼, 1층 천정으로 내려와야 합니다. 콘크리트 타설을 편하게 하고자 편법 시공하면 사용하기 불편한 욕실이 될 수 있습니다.

 

설계 도면을 설명하는 화장실 욕실 시공 및 방수 작업

화장실은 물을 사용하는 공간으로 누수를 막기 위해 여러 공정이 들어가는 공간입니다. 배수관이 세거나 방수층이 깨지는 경우가 많으며, 방수가 깨지면 콘크리트 틈을 타고 어디론가 흐르게

ohause.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