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실은 물을 사용하는 공간으로 누수를 막기 위해 여러 공정이 들어가는 공간입니다. 배수관이 세거나 방수층이 깨지는 경우가 많으며, 방수가 깨지면 콘크리트 틈을 타고 어디론가 흐르게 됩니다. 콘크리트가 물을 흡수하고, 석고보드를 적시고 나서야 누수가 확인 됩니다. 그래서, 물을 사용하는 공간은 유달리 신경이 많이 가는 곳입니다.
물 사용한다면 바닥면보다 낮게 하세요.
화장실은 설계 단계에서부터 마감면을 다운시켜 슬리퍼가 걸리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목조주택도 물론 예외가 아닙니다. 첫 번째 주택은 목조주택으로 2층에 목욕탕이 있는 구조로 설계와 시공 단계에서 다운 처리를 하지 못한 경우입니다. 2층 전체 공간 바닥면의 높이가 같습니다. 단열과 방통 과정에서 높이를 맞출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목조주택의 방수에 대한 불안감 해소를 위해 FRP(폴리에스테르) 방수를 진행하게 됩니다. FRP방수는 FRP수지와 유리수지 매트를 접착제를 이용해 겹쳐 붙이는 작업을 반복해 FRP막을 만드는 방법입니다. 보트와 같이 물에 직접적으로 맞닿는 곳에 사용하고 있는 재료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방수에 대한 결과는 만족하나 단차가 없어 물 사용이 불편한 공간이 되었습니다.
안으로 문을 여는 대신 밖으로 문을 엽니다. 문틀을 반대로 설치해 문제를 해결합니다. 습식바닥 공간도 건식으로바꾸기로 했습니다. 슬리퍼가 필요 없어 문에 걸리는 불편이 사라졌습니다. 물청소를 하면 물이 넘어가네요. 물을 쓰는 공간은 바닥 마감 다운이 필요해 보입니다.
화장실 공간 다운 설계
두 번째 집은 화장실 다운이 설계에서부터 반영 되었습니다. 콘크리트 골조부터 거푸집을 별도 제작해야 하므로, 품이 더 들어가게 됩니다. 도면에 없거나 건축주와 약속된 내용이 없다면 시공사는 굳이 공정을 하나 더 만들고 싶어 하지 않을 것 같습니다. 콘크리트 보와 오른쪽 바닥면과 중간쯤 되는 위치로 보입니다.
완성된 화장실의 모습
욕조가 설치된 샤워부스 - 세면대 - 변기 순으로 화장실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제작가구인 거울을 제외한 수전 및 변기 등은 설계도면의 제품 스펙에 기술되어 있습니다.
화장실의 사용 구획을 샤워 공간 - 세면공간 - 번기공간으로 나누어 불편하지 않도록 하였습니다. 공간의 설계에는 넓이와 높이를 같이 표시해야 합니다. 넓이의 공간도 중요하지만 높이의 공간도 중요합니다.
화장실 방수처리 순서입니다. 콘크리트 바닥 기초에 액체방수를 합니다. 고뫄스 도막방수와 단열재를 덮고, 난방용 엑셀 파이프를 설치합니다. 레미탈 방통 작업 후 타일 마감을 하게 됩니다. 도면에 표시된 두께는 130mm입니다.
- 슬리퍼가 걸리지 않기 위해서는 방통을 높게 치거나 화장실을 다운 시공해야 합니다.
젠다이는 필수 또는 옵션
콘크리트 벽체에 벽돌을 쌓아 젠다이 구조를 만듭니다. 지인이 집을 지을 때 설계 도면에 젠다이가 없어서 시공 과정에서 추가로 요청하게 됩니다. 아파트 생활을 하던 지인은 젠다이는 화장실에 기본으로 설치된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젠다이를 만들기 위해서는 벽돌 쌓기라는 공정이 추가됩니다. 공정이 추가되면 비용이 수반되기 마련입니다.
- 시공사는 설계변경을 좋아 합니다. 건축주는 재료비만 더 들어간다고 생각합니다.
- 시공사는 재료비 + 노무비 + 경비에 이윤까지 생각합니다.
1. T20 액체방수 1종
방수몰탈 2회를 도포하는 액체방수 1종 기초방수 처리를 합니다. 액체방수 2종의 경우 방수몰탈을 1회만 합니다. 방수액 도포 횟수에 따라서 1종과 2종 구분이 됩니다.
2. 고무계 탄성 도막방수(고뫄스)
고뫄스 수용성 욕실바닥 방수제를 도포합니다. 과뫄스는 수용성 고무아스팔트 도막방수재로, 고무 + 아스팔트의 합성어로 제품명으로 화장실 방수제의 고유대명사처럼 불리는 것 같습니다.
3. T30 층간 단열재 → T80 층간 소음패널
화장실 소음을 잡아주고 단열을 위한 층간 소음 방지 패널입니다. 단열재에 엑셀파이프 고정용 플라스틱 틀이 부착되어 엑셀파이브 고정용 U핀이 필요 없는 제품입니다. 방통용 T80으로 설계도면의 층간 단열재 두께보다 50mm 차이가 납니다. 차이나는 부분은 레미탈 타설에서 줄이기로 합니다.
층간 소음패널을 부착한 모습입니다. 소음 패널 상부 플라스틱 자재를 서로 끼워 맞춰 연결하는 구조입니다. 구조물 끼움 방식이라 단열재 테이핑이 필요 없습니다.(방통 시멘트가 단열재 안으로 흘러 들어가는 현상)
- 단점은 소음패널 설치 후 짜투리 부분 마감처리가 어렵습니다. 공간이 벌어지거나 뜨는 현상이 있습니다. 시공을 꼼꼼하게 해줘야 합니다.
- 층간소음패널은 방통 시공 과정에서 다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4. T70 레미탈
층간 단열재 변경으로 마감 높이를 맞추기 위해 레미탈 방통 두께를 줄여야 합니다. 방통 마감면의 크랙이 있습니다. 크랙을 없애려면 손미장을 계속 해줘야 합니다.
- 층간소음패널과 방통 시공 과정에서 다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5. T9 자기질 타일
타일 마감을 위해 바닥면 구배를 잡아야 합니다. 바닥면 중심에 유가틀이 고정되어 있습니다. 구배를 잡고 발로 밟고 다져줍니다.
자기질 타일은 바닥용 타일을 사용해야 합니다. 바닥면과 벽면 타일 무늬가 같은 경우, 타일 시공자에게 바닥 타일이 다름을 알려 주어야 합니다. 첫 번째 집에서는 벽체 타일 몇 장이 바닥에 깔리는 일이 있었습니다.
마치며.
화장실 공간 다운 여부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물을 쓰는 공간은 마감까지 충분한 높이를 확보해 줘야 하자를 줄일 수 있습니다.
콘크리트 골조 누수 원인 및 누수 방지
콘크리트 골조의 누수 흔적을 확인하고 누수 방지를 위한 시공과정을 소개합니다. 콘크리트는 물을 흡수하는 성질이 있으므로 비가 온 뒤 콘크리트 골조 누수원인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콘크
ohause.tistory.com
'단독주택 시공과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층간 소음을 줄여주는 층간소음패널 시공 (0) | 2023.05.30 |
---|---|
콘크리트 연결 철물의 열교를 줄이기 위한 내부 단열 보강 (0) | 2023.05.19 |
시스템 윈도우 설치 과정 (0) | 2023.05.16 |
한전 전기인입 실내 전기차단기 설치 공사 (0) | 2023.05.11 |
우수관 벽체 매립 시공 (0) | 2023.05.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