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사 기간 중 한전 임시전기 사용 신청 후 본 전기를 주택 내부로 끌어들여야 합니다. 한전 전기인입 및 전기 차단기 공사 과정을 설계도를 바탕으로 현장에서 어떻게 진행되는지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한전 전기선이 현장 주변까지 연결되어 바로 사용할 수 있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주변에 전기 시설이 없거나 전주가 보이지 않는다면 주택 내부로 전기를 가지고 오기 위해서는 공사가 필요합니다.
설계도면 설명
설계도면의 왼쪽은 인도와 11m 도로가 위치합니다. 주 전기는 도로 안쪽으로 매립된 지중화 구간입니다. 도면의 (한전 전기 인입) 표시를 따라 핸드홀(HAND HOLE 600*600*650)로 전기 인입이 됩니다. 인입된 전기는 계량기와 연결되어 사용량을 측정하게 됩니다.
외부
도면의 WHM으로 표시된 한전계량기함의 모습입니다. 계량기의 박스는 벽돌 안쪽에 먼저 매립되어 설치됩니다. 이후 벽돌 쌓기가 완료된 후 전면투시창이 있는 계량기함 덮개를 설치합니다. 사진의 왼쪽 노란색 전기선은 외부등 연결을 위해 사전에 빼놓았습니다.
- 현장은 계량기 내부에 콘센트를 설치해 외부 작업 시 사용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내부
내부 마감 공사가 진행되기 전 내부의 전기 차단기의 모습입니다. 각 위치에 연결된 전선을 차단기에 모아 놓은 후, 선을 분리해 두었습니다. 돼지꼬리 모양으로 말린 전기선 끝단에 어디서 온 전선인지 꼬리표를 달아 놓았습니다.
전체부하와 적용부하 계산
설계사무소에서는 도면에 들어갈 가전제품의 전력사용량을 확인한 후 주택에서 사용할 전체부하를 계산합니다.
- 전등부하, 인덕션, 전기오븐, 식기세척기, 전기밥솥, 전자레인지, 세탁기, 건조기, 스타일러, 1층 에어컨, 2층 에어컨, 에어컨 실외기, 전열 부하
- 전자 제품의 특성을 그룹화한 후, 차단기 규격과 종류를 정합니다. 전기 차단기 그룹을 매핑합니다.
한전 전기사용 신규 신청 시, 전기 사용 제품의 전력소비량을 합하여 계약전력을 신청하면 됩니다. 일반 저압을 사용하는 일반적인 단독주택의 경우 기본 계약전력 3 kWh입니다. 그러나, 계약전력이 높다고 해서 전기요금이 올라가지는 않습니다.
- 현장의 경우 전기사용 신청 계약전력은 10 kWh입니다.
- 주택용 저압 고객의 경우, 계약전력이 많아도 전기요금에 영향이 없습니다.
- 계약전력이 많아도 전기요금에 영향을 주지 않는 이유 바로가기
돼지꼬리 모양으로 꼬여 있던 전선들이 도면에 표시된 위치를 찾아 연결된 모습입니다. 전기 제품을 그룹화하여 차단기에 연결했으므로, 과부 차단 시 해당 제품만 확인하면 되는 장점이 있습니다.
- 전력 사용량이 높은 인덕션, 전자레인지, 식기세척기, 방 1, 방 2 등 그룹을 만들어 차단기를 분리합니다.
- 과부하나 누전, 합선 발생 시 해당 차단기의 전자 제품만 확인하면 됩니다.
- 단상 220V 10 kWh의 경우, 75A 차단기와 10SQ의 전선 굵기를 사용합니다.
적정 용량에 맞는 차단기와 적정 굵기의 전선을 사용해야 합니다.
적정 용량의 차단기와 적정 굵기의 전선을 사용해야 차단기 허용 암페어(A)를 초과할 경우, 차단기가 정상 작동됩니다. 화재를 예방하고 전자제품을 보호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 적정 용량보다 과도한 차단기의 경우, 과부하가 발행해도 차단기가 내려가지 않습니다. 반대로 적정 용량보다 작을 경우 전자제품의 전원을 켜기만 하면 차단기가 내려가게 됩니다.
실내 전기 차단기함의 모습입니다. 외부에서 차단함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붉은색의 등이 부착되어 있습니다. 전기가 연결되어 있을 경우 상시 등이 켜지게 됩니다.
마치며.
전기는 일반인들이 쉽게 알 수 없습니다. 설계도면에서 전자제품의 위치를 정하고, 용도별로 분류한 후 제품의 최대 사용량을 적어 표로 작성합니다. 작성 표를 기준으로 차단 그룹을 만들어 줍니다.
- 전선의 굵기(SQ)와 차단기의 차단용량(A)은 현장마다 다르므로 전문가 의뢰해야 합니다.
- 차단기에 꼬리표(테크)를 달아 차단기에 연결된 제품이나 위치 확인이 가능해야 합니다.
설계사무소 감리가 하는 일(동영상 포함)
감리의 역할은 설계도면을 이해하고, 일정을 관리하며, 자재며 시공이 정상적으로 진행되는지 확인하는 것입니다. 설계도면의 미흡한 점을 보완하고 현장과 건축주에게 수정된 도면을 제공하
ohause.tistory.com
'단독주택 시공과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계 도면을 설명하는 화장실 욕실 시공 및 방수 작업 (0) | 2023.05.17 |
---|---|
시스템 윈도우 설치 과정 (0) | 2023.05.16 |
우수관 벽체 매립 시공 (0) | 2023.05.10 |
일체타설 단열재 폼타이 제거를 통한 점성열교 줄이기 (0) | 2023.05.09 |
콘크리트 골조 누수 원인 및 누수 방지 (0) | 2023.05.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