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단독주택 시공과정

일체타설 단열재 폼타이 제거를 통한 점성열교 줄이기

by 정중동(靜中動) 2023. 5. 9.
반응형

일체타설은 거푸집 안쪽에 단열재를 미리 부착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 하여 단열재와 콘크리트 면이 밀착할 수 있도록 합니다. 거푸집 설치와 동시에 거푸집 벽체에 단열재를 부착하므로 시공기간을 단축할 수 있습니다. 시공기간 단축을 통해 공사비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단열재가 콘크리트에 밀착되어 단열재 탈락을 줄여줄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일체타설 단점

일체타설의 단점은 콘크리트 골조 품질확인이 어렵습니다. 단열재와 밀착된 부분의 콘크리트 공극 확인이 불가능합니다. 일체타설 후 콘크리트만 보이는 안쪽면 확인 결과, 콘크리트 타설 불량으로 철근이 드러나 땜빵 작업이 진행된 흔적이 보입니다.  단열재가 감싸고 있지만 단열재 안쪽 어디에는 철근이 드러난 골조가 있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거푸집 고정 방법 

프렛타이를 이용하여 거푸집을 고정한 모습입니다. 각 거푸집의 틀에 프렛타이를 밀어 넣고 거푸집 바깥쪽에 웨지핀을 이용하여 프렛타이가 빠지지 않도록 고리에 넣어 고정하는 방식입니다. 프렛타이를 토치로 달군 후, 거푸집 고정틀에 밀어 넣어 고정합니다.

안쪽과 바깥쪽 거푸집 고정을 위한 프렛타이

콘크리트 양생이 끝나고 거푸집을 제거한 외부 벽체의 모습입니다. 단열재 사이로 거푸집을 고정했던 프렛타이가 바늘처럼 꽂혀 있습니다. 현장에 따라 프렛타이를 이용해 외장벽돌 지지 구조물로 사용하기도 합니다. 일체타설 현장의 경우 프렛타이는 점성열교가 발생되는 위치입니다. 

일체타설 현장의 거푸집 제거 후 단열재로 튀어나온 프렛타이 모습

일체타설의 경우 외단열재로 비드폼 단열재를 많이 사용하게 됩니다. 비드폼은 충격에 약한 스티로폼이므로 프렛타이 제거기(폼타이 제거기)를 이용해 힘으로 꺾어 부러뜨릴 수 없습니다. 힘을 주게 되면 단열재가 먼저 파손됩니다. 그라이더를 이용해 손수 프렛타이 제거를 해줘야 합니다.

단열재로 튀어나온 프렛타이를 제거한 모습

단열재를 뚫고 나온 프렛타이를 제거한 한 모습입니다. 프렛타이를 손으로 제거해야 하므로 잘린 모습과 형태가 제각각입니다. 단열재 안쪽으로 잘린 프렛타이 모습입니다. 단열재 구멍이 눈으로 보입니다.

단열재로 튀어나온 프렛타이를 제거한 모습

단열재 면을 따라 절단된 프렛타이 모습입니다. 그라인더 절단 과정에서 단열재 파임이 조금 생겼습니다.

단열재로 튀어나온 프렛타이를 제거한 모습

프렛타이를 가열하여 단열재를 뚫고 고정했으므로, 단열재가 녹아 공간이 생기게 됩니다.

프렛타이를 제거한 후 단열재와 프렛타이 틈으로 발생될 수 있는 누수방지를 위해 외장용 실리콘을 사용해 방수 처리 합니다. 방수처리 방법은 현장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외장용 실리콘 방수처리

단열재가 맞닿는 이음 부분은 수평과 수직으로 틈이 생기게 됩니다. 이 틈을 이용해 물은 콘크리트 벽체까지 도달하게 됩니다. 단열재 이음 부분과 프렛타이 제거 부분에 실리콘 방수처리를 합니다. 

단열재 이음과 프렛타이 제거 위치에 실리콘 처리를 합니다.

다른 글 바로가기

 

콘크리트 골조 누수 원인 및 누수 방지

콘크리트 골조의 누수 흔적을 확인하고 누수 방지를 위한 시공과정을 소개합니다. 콘크리트는 물을 흡수하는 성질이 있으므로 비가 온 뒤 콘크리트 골조 누수원인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콘크

ohause.tistory.com

외장벽돌은 방수층이 아닙니다.

작은 물이라도 콘크리트 골조로 침투된 물은 시간이 지나게 되면 누수 흔적으로 나타나게 됩니다. 누수가 생기면 먼저 외장벽돌 방수를 하기 위해 벽돌에 방수액을 뿌리기 시작합니다.  외장벽돌은 건물을 좀 더 도드라지고 개성 있게 보이는 역할을 할 뿐 방수 역할은 하지 못합니다.

 

내부 단열보강 바로가기

 

콘크리트 연결 철물의 열교를 줄이기 위한 내부 단열 보강

열교 발생 부분은 온도차로 인해 결로가 생기게 됩니다. 외부 냉기와 열기가 내부로 전달되므로 이를 줄이기 위한 에너지 비용이 들게 됩니다. 콘크리트 연결 철물의 열교를 줄이기 위한 내부

ohause.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