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크리트 골조의 누수 흔적을 확인하고 누수 방지를 위한 시공과정을 소개합니다. 콘크리트는 물을 흡수하는 성질이 있으므로 비가 온 뒤 콘크리트 골조 누수원인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콘크리트는 방수자재가 아니므로 일정량 이상의 비에 노출될 경우 콘크리트 벽체는 물을 흡수하여 기초가 낮은 방향으로 누수가 되게 됩니다.
콘크리트 골조 누수원인
설계도면의 파란색 화살표는 빗물을 표시하여 물의 흐름을 그려 보았습니다. 일체타설 현장이므로 콘크리트와 외단열 비드폼이 부착된 현장입니다.
- 외부 빗물이 바닥재에 고이면서 기초가 낮은 벽체를 타고 내부로 누수되는 과정입니다.
- 바닥면은 붉은색으로 표시하여 단차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콘크리트 골조 누수 현장 모습
기초가 낮은 곳의 누수된 모습입니다. 외부 및 내부 마감 공사가 진행되기 전이므로 누수의 취약 부분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현장은 기초가 낮은 안방의 모습입니다. 외부 중정에서 빗물이 고이면서 콘크리트를 적시는 과정이 반복됩니다. 그 후 시간이 흐르면 사진과 같이 누수 자국이 생기게 됩니다.
전기 인입시설이 있는 계단실 아래쪽의 누수된 모습입니다. 콘크리트 하부 마감 후 미장한 흔적이 보입니다. 콘크리트 골조 안쪽으로 누수가 발생된 모습입니다.
1층 천장 누수 흔적입니다. 2층 콘크리트 지붕과 맞닿는 위치로 평지붕에 빗물이 고이면서 벽체를 타고 발생된 현상입니다.
1층 천장의 누수와 동일하게 지붕을 타고 2층 내부로 누수 흔적이 확인됩니다. 1층 지붕과 맞닿는 벽체를 타고 콘크리트가 물을 흡수하면서 누수가 발생되었습니다.
콘크리트 골조 누수방지 시공
현장은 동계 휴식기(12월부터 2월까지) 동안 여러 차례 비를 맞고 얼고 녹기를 반복한 후 3월 공사를 재개합니다. 제일 먼저 골조의 누수를 확인한 후 누수방지를 위한 시공을 진행합니다.
누수방지 방법 요약
- 기초콘크리트가 물을 흡수한 후 내부로 누수흔적이 보여 지므로, 콘크리트 이어 치기 부분에 대한 전체 도막방수가 필요하다고 판단
- 일체타설로 외단열재(비드폼 단열재)가 콘크리트면에 밀착되어 있으므로, 건물 외벽을 둘러싼 이어 치기 된 부분을 줄을 띄워 표시
- 표시된 외벽의 단열재를 잘라내고, 콘크리트 벽체에 고뫄스 도막방수함
- 단열재를 다시 부착하여 누수방지 공사를 종료함
누수가 발생된 바깥쪽의 모습입니다. 기초바닥면을 타고 건물 안쪽으로 누수가 발생됩니다. 단열재에 거푸집을 고정했던 프렛타이(폼타이) 제거 자국이 보입니다. 단열재 프렛타이는 그라인더를 사용해 절단하므로, 단열재 안쪽에는 프렛타이가 남아 있습니다. 프렛타이 자국에도 방수처리 합니다.
콘크리트 기초 연결 부분(이어 치기 부분)을 따낸 모습입니다. 또한 프렛타이 흔적으로 물이 타고 들어가지 않도록 메꿈 처리했습니다.
기초와 닿는 부분(이어치기 부분)의 도막방수 모습입니다. 벽체면과 바닥면을 같이 도막방수 합니다.
안방 누수를 발생 시키는 외부 콘크리트 바닥면입니다. 도막방수를 한 모습입니다.
기초콘크리트와 닿는 벽체 전체를 도려 내고 고뫄스 도막처리를 합니다. 프렛타이 메꿈과 단열재 틈은 외부용 실리콘을 사용 메꿈 처리합니다.
단차가 있는 기초이므로 단차에 맞춰 단열재를 잘라냅니다.
매립 배관의 모습입니다. 매립배관은 단열재를 파고 안쪽에 설치했으므로, 벽체로부터 여유공간이 있습니다. 매립배관 안쪽도 도막처리 합니다.
도막방수가 끝나면 단열재를 부착하여 방수작업을 종료합니다. 단열재 사이는 틈이 발생되지 않도록 우레탄폼으로 완전 밀착 시킵니다.
왼쪽은 거실과 연결된 단열재 보호를 위한 커버를 설치한 모습입니다. 안방과 연결된 벽체는 방수시공 이후 벽돌마감이 진행되었습니다. 바닥면은 제물치장을 통해 물이 밖으로 빠질 수 있도록 구배 작업을 합니다.
마치며.
비와 눈을 맞으며 콘크리트 골조 양생과정에서 누수흔적을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계절의 도움이 없었다면 누수 흔적을 확인 못하고 서둘러 벽돌마감과 입주가 이루어지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설계 도면을 설명하는 화장실 욕실 시공 및 방수 작업
화장실은 물을 사용하는 공간으로 누수를 막기 위해 여러 공정이 들어가는 공간입니다. 배수관이 세거나 방수층이 깨지는 경우가 많으며, 방수가 깨지면 콘크리트 틈을 타고 어디론가 흐르게
ohause.tistory.com
우수관 벽체 매립 시공
우수관 매립을 통해 건물 외부에서 우수관이 보이지 않도록 시공하였습니다. 매립배관의 동파를 방지하기 위해 단열재를 파낸 후 우수 배관을 설치합니다. 매립관의 경우 하자발생 시 보수가
ohause.tistory.com
'단독주택 시공과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수관 벽체 매립 시공 (0) | 2023.05.10 |
---|---|
일체타설 단열재 폼타이 제거를 통한 점성열교 줄이기 (0) | 2023.05.09 |
주방 싱크대 제작 (0) | 2023.05.04 |
두겁석 올리기 (0) | 2023.05.03 |
마당 없는 작은 정원 만들기 (0) | 2023.05.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