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설계2 직접설계 Vs 전문설계 비교 첫 번째 직접 설계와 현재 살고 있는 두 번째 집인 전문설계 두 가지 방법에 대한 내용입니다. 방문 전 설계업체에 대한 정보가 없었으며 오전 통화 후 오후 미팅을 가졌습니다. 이전에 설계를 받았던 분의 추천이 있었습니다. 열정 있는 건축가를 만나야 한다고. 두 가지 경험을 가지고 건축 설계 단계에서의 비교표를 만들어 보았는데, 비교 대상이 동일하지 않으므로 우위에 있는 부분은 예비 건축주가 고민해야 할 부분입니다. 구분 직접설계 (시공사, 건축주) 전문설계 (설계사무소) 우위 견적 O억2천 O억7천 - 공법 목조 철근콘크리트 - 설계 / 허가비 ■ 설계비 : 백오십만원 ■ 허가비 : 이백오십만원 ■ 감리비 : 건축주 직영 ■ 설계비 : 사천만원 ■ 감리비 : 이천만원 직접설계 장점 ■ 나만의 공간 사이즈.. 2023. 2. 15. 설계 사무소에서 설계를 해야 하나요? 주어진 예산은 당연히 빠듯하고, 굳이 설계비에 예산 10%를 쓰고 싶어 하지는 않습니다. 이 돈이면 마당공사도 할 수 있고, 지붕자재를 한 단계 업그레이드 할 수 도 있습니다. 책이나 인터넷 검색 등 자료에서는 설계비는 대충 시공예산의 10% 정도가 들어간다. 집을 지으려면 설계사무소를 먼저 찾아가야 한다는 내용을 많이 보실 수 있을 겁니다. 집짓기 시작부터 끝까지 고민하는 부분이 굳이 비싼 설계비를 들여 설계를 해야 하는가요? 예산이 얼마인가요? 그럼 어떻게 하는 게 좋을까요? 두 가지 사례입니다. 첫 번째는 시공사에서 설계를 진행한 사례이고 두 번째는 설계사무소에서 진행한 사례입니다. 그럼 첫 번째 설계비 없이 진행한 사례로 먼저 설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첫 번째 사례로, 시공사에서 기본 구상을 건.. 2023. 2. 14.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