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단독주택 시공과정

주방 싱크대 제작

by 정중동(靜中動) 2023. 5. 4.
반응형

내부마감이 진행되면서 주방가구 제작을 진행합니다.  도급계약 시 제작가구는 견적에 포함하지 않는 부분으로 건축주가 직접 선정하거나 설계사무소의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주방을 계획하면서 건축주가 고민했던 내용을 공유하기 위해 글을 남겨 놓습니다. 
 
이해 관계없는 제작 후기입니다.

  • 가구디자인 : E&J 이앤제이 / 가구제작 : 렉스(경기 광주시 곤지암읍,  강채중 대표)
  • 주방가구 제작 비용 : 24,800,000원(2022년 7월 기준)
  • 주요 구성 
BODY  : LPM / DOOR : PET 마감
서랍재 : 블룸 안타로 서랍재 / 하드웨어 : 블룸
ALTO 이태리 씽크볼 / 슈티에싱크 수전 / 엘리카 후드 / 칸스톤 상판

석고보드 마감과 페인트 도색 마감된 주방 모습입니다. 페인트가 칠해지지 않은 부분은 싱크대 붙박이장이 설치될 위치입니다. 페인트가 없는 왼쪽부터 전기 사용을 위한 전기콘선트가 2개씩 설치되어 있습니다. 오른쪽으로 계단밑 간이 수납공간이 있고, 제일 오른쪽 십자가(+) 모양의 공간은 상부수납장과 냉장고가 설치될 공간입니다.

주방가구 제작 전 모습

감리를 맡고 있는 설계사무소 직원이 현장에서 함께합니다.  설계도면의 치수와 현장의 마감치수를 확인합니다.

감리와 의견을 나누는 건추주

제작가구 대표와 디자인 실장이 현장 실측을 진행합니다. 제작가구는 실제 사용하는 건축주의 의견이 중요합니다. 디자인 실장은 도면에 실측한 치수를 기입하고, 사진으로 남깁니다. 이후 디자인 실장과 가구설계 담당자가 현장을 방문하여 2차 실측 작업이 진행됩니다. 설계담당자는 현장을 확인하고 변경 요청 사항을 반영하였으며, 건축주의 추가 사항에 대해서 현장 설치 지원을 아끼지 않았습니다.

현장 실측 모습

주방 설계도면이 완성 되었습니다. (왼쪽부터) 오븐, 홈바, 후드, 조리공간으로 구성됩니다.  주방을 계획하시는 분들을 위해 도면 치수가 보이도록 하였습니다. 문제 시 삭제하도록 하겠습니다. 

가구설계 : 이앤제이

배송된 제작가구를 현장에서 조립합니다. 조립된 주방가구가 대충 위치를 잡았습니다. 

주방가구 조립 완료 모습

조립 후 마감을 위한 부자재가 별도 있습니다. 걸레받이 위주의 부자재입니다.

주방가구 부자재

현장 작업자가 쉽게 볼 수 있는 위치에 설계도면을 부착해 둡니다.

현장에 부착된 설계도면

왼쪽 3칸의 주방가구는 오븐장이 있는 곳입니다. 여닫이의 상부수납, 하부수납장이 설치됩니다. 오븐장옆으로 홈바가 설치됩니다. 아직 상부 자재가 설치되기 전 모습입니다. 홈바의  LED조명과 전기 사용을 위한 전기콘센트가 보입니다.

제작가구 설치

대면형 싱크대의 모습입니다. 현장에서 모서리 따는 작업을 합니다. 주방 가구를 조립하고 연결한 후 사각 모서리 부분을 오차 없이 처리합니다. 주방가구는 판 전체가 래핑 되어 오는데, 모서리를 절단한 면에 대한 마감처리를 별도 하지 않습니다.  모서리 절단 부분은 물이 닿지 않게 주의해야 할 것 같습니다.

모서리 절단 부분

상부 수납장 사이로 후드 주름관이 나와 있습니다.   

상부장과 후드 주름관

후드구명은 시공사에서 타공해 놓습니다. 타공 위치 변경은 손이 많이 가는 작업으로 현장 실측을 통해 주방가구 설계 시 위치를 보정해야 합니다. 

후드배관 주름관

측면에서 그려진 도면 입니다. 상부수납장의 깊이와 하부 서랍장의 깊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사용 : 상부장 깊이 : 330mm / 하부장 깊이 : 545mm
  • 설치 : 상부장 깊이 : 350mm / 하부장 깊이 : 735mm

가구설계 : 이앤제이

대면형 주방 싱크대(아일랜드)의 설계도면입니다. 길이는 3500(3.5m)입니다. 높이는 900mm입니다.  
싱크대를 계획 중이라면 싱크대의 높이로 고민이 많습니다. 어느 정도 높이가 맞는지 고민합니다.
 
건축주는 165cm로 현재 높이에 만족도가 높습니다. 슬리퍼를 신을 경우 슬리퍼 높이를 감안해야 합니다.
낮은 슬피퍼에서 쿠션이 있는 슬리퍼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아일랜드 : w3460 * d830 * h880 / 900

가구설계 : 이앤제이

대면식 주방 싱크대를 조립하고 있습니다. 싱크대 하부에는 싱크대에서 나오는 물이 배출되는 배수관이 있어야 하고, 수전 사용을 위한 온수/냉수 배관이 사전에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대면 주방 싱크대 제작가구

대면식 서랍장은 제작가구 조립 후 블룸 레일 설치가 완료된 모습입니다. 블룸 안타로 서랍재를 사용하여 마무리합니다.

대면주방 서랍장

제작가구 하단에 나사방식의 높이조절 고정 다리를 설치하였습니다. 연결된 제작가구끼리 높이를 조절하는 기능입니다.  

나사방식 고정다리

아일랜드 측면에서의 설계도면 입니다. 아일랜드 가림막을 17Cm 두어 안쪽의 잡다함을 가리고자 했습니다.  또한 아일랜드에 싱크대가 있어, 물 흐름을 방지하고자 했습니다. 아일랜드 가림막 설치는 건축주와 설계사가 끝까지 고민했던 부분입니다.

  • 아일랜드 측면 : w950 * d830 * h880 / 높이 900 / 전체높이 1,050
  • 아일랜드 가림막  : h170  

가구설계 : 이앤제이

주방가구 제작이 완성되었습니다. 사용위치에 맞게 조명 위치를 확인합니다. 

완성된 주방 모습

건축주는 전자제품 모델을 가구 디자인 업체에 제공해 줍니다. 빌드인 된 냉장고에 폭에 맞춰 상부장 문의 크기가 결정되었습니다. 

아일랜드 가림막은 바닥 칸스톤의 느낌을 이어가게 했습니다. 가림막은 두께감을 두어 팔을 기대거나 간단한 물건을 건네기 쉽게 100mm 폭을 두었습니다. 

완성된 주방 모습

빌트인 된 전자제품의 모습입니다. LG의 오븐과 인덕션을 새로 구매했습니다.

전자제품 매림

계단실 아래 공간에 작은 수납공간을 만들었습니다. 주방창고 시스템 선반은 제작비용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계단실 밑 주방창고

마치며.

집의 동선이 있듯, 주방에도 동선이 있습니다. 집의 동선을 머릿속에 계속 그리듯, 주방의 동선도 계속 그리고 지우기를 반복해야 합니다. 마음에 들지 않지만 타협한다면 쓰면서도 후회하게 되는 공간이 될 수 있습니다.

 

 

설계도면으로 설명하는 창문틀 활용 방법

설계도면으로 설명하는 창문틀 활용 방법입니다. 창문 높이를 이용하여 주방 조리공간을 확장하였습니다. 대면식 주방을 만들기 위해 주방 공간을 넓혔지만 반대로 다른 공간이 줄어들게 됩니

ohause.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