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단독주택 시공과정62 벽체 철근 작업 현장공사가 종료 된 후 현장에 들렸습니다. 현장 확인 후, 내일 오전에 보완 요청사항이 있는지 확인해 봅니다. 제조일자 및 용량 등이 표시된 한국산업표준표시테크가 걸려 입니다. 일체타설을 위한 기초작업이 진행중입니다. 단열재에 철근 배근할 간격을 공지해 둡니다. 수직 : 250, 수평 : 250 단위는 mm입니다. 거푸집과 단열재를 세우고 가로*세로 배근이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개구부 크랙 방지를 위해 보강근을 확인합니다. 왼쪽 개구부의 보강근 모습입니다. 사선으로 보강근 두 가닥이 보입니다. 아래 사진 중간의 철근 갯 수가 더 많은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벽체 개구부 보강상세도 개구부 오른쪽 모습입니다. 사선의 보강근과 벽체가 끝나는 위치에 수직 철물이 추가 되어 있습니다. 일체타설의 단점이 보입니.. 2023. 3. 14. 1층 거푸집 / 단열재 거푸집이 설치되면서 바닥면 크기에서 공간면이 더해집니다. 남쪽에서 바라보는 현장모습입니다. 인도 쪽에 철근이 보관되어 있습니다. 공사현장은 뒤쪽과 옆쪽으로 여유공간이 있어 컨테이너 사무실과 자재 보관이 수월한 편입니다. 물류난을 뚫고 도착한 단열재입니다. 단열재 규격 확인을 위해 사진을 남겨 놓습니다. 거푸집이 설치되고 창문이 설치될 곳에 각재로 창문자리를 미리 잡아 둡니다. 창문의 높이가 설계도면과 일치하는가? 창문의 가로세로 방향이 설계도면과 일치하는가? 창문의 가로세로 길이가 설계도면과 일치하는가? 일체타설을 위해 거푸집에 단열재를 붙이는 작업이 진행됩니다. 고정못을 이용해 거푸집에 단열재를 부착합니다. 기초콘크리트 작업 때 붙인 외단열재 위에 올려놓습니다. 단열재 접합면에 폼처리가 되지 않아 기초.. 2023. 3. 14. 일체타설과 일반타설의 장·단점 분석 기초콘크리트 타설 후 중정의 모습입니다. 일체타설로 단열재를 거푸집 안쪽에 미리 고정 후 콘크리트를 타설 합니다. 단열재를 거푸집 안쪽에 미리 자리를 잡게 한 후 콘크리트 타설이 진행됩니다. 일체타설과 일반타설의 장·단점에 대해 설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일체타설을 지양하라는 정보는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일체타설 아래 사진에서 보는 것과 같이 일체타설을 하게 되면 콘크리트에 섞여있는 물이 빠지는 현상이 발생됩니다. 시멘트 페이스트 현상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걸쭉한 콘크리트는 그대로 굳어지지 않습니다. 콘크리트 타설 즉시 콘크리트에 섞여 있는 수분이 배출 되게 됩니다. 일체타설 후 프레타이를 절단하고 잘린 프레타이 방수처리에 대해서는 시공사와 사전 협의 하기를 추천드립니다. 일반공사현장은 프레타이를.. 2023. 3. 10. 기초 콘크리트 타설 / 거푸집 벽체 설치(동영상 포함) 터 잡기, 터파기, 잡석다짐, 버림 콘크리트, 기초단열재, 철근배근, 하수배관, 전기/통신관 공사까지 진행 후 현장 감리가 진행됩니다. 감리 지적 사항은 현장소장이 개선 후 사진으로 회신 과정을 진행하게 됩니다. 최종 점검이 완료되면 기초콘크리트 타설 작업이 진행됩니다. 펌프카가 미리 자리를 잡고 레미콘 트럭을 맞을 준비를 합니다. 레미콘 타설은 오후부터 진행합니다. 레미콘은 현장 주변 가까운 곳을 선정해서 작업하는데, 이곳 주변의 모든 레미콘 차량이 아파트 공사현장에 투입되는 바람에 오전 공사를 못했다고 합니다. 가끔 있는 일이지만 레미콘 운송 운임 인상 투쟁이 있는 경우, 레미콘 수급이 수월치 않아 공사가 멈추는 경우도 있습니다. 해가 점점 짧아지는 계절이 오고 있습니다.전동 바이브레이터를 철근 사이.. 2023. 3. 10. 이전 1 ···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