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단독주택 시공과정62 기초 철근/통신선/전기선 작업 철근팀이 기초콘크리트 타설 전 마지막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작업 중인 곳은 중정(외부)으로 주택의 물 버림이 모두 모이는 위치입니다. 왼쪽이 오른쪽보다 단차가 높습니다. 단차 작업을 위해 사진 가운데 가림 구조물이 보입니다. 화장실 벽체를 따라 전기 인입관 설치 됩니다. 화장실 다운을 위한 각재 구조물이 보입니다. 전기관과 연결된 화장실 벽체(하부)가 얇아 콘크리트 타설 후 깨지게 됩니다. 콘크리트 기초 다운을 위한 화장실 구조물이 보입니다. 사진의 아래쪽이 현관이고, 오른쪽 화장실과 멀리 주방이 보입니다. 빨간색과 파란색, 노란색의 전기 배관이 기초 철근 아래로 보입니다. 전기관은 도면에 표시되지 않으므로 사진으로 남겨 놓도록 해야 합니다. 중정 거푸집을 굵은 각재를 이용하여 터지니 않도록 받쳐져 있.. 2023. 3. 9. 감리현장점검(1차) 기초콘크리트 타설 전 감리업체 감리가 현장 점검을 합니다. 저희는 설계를 한 곳에서 감리를 진행했습니다. 1차 감리는 설계도면의 이행여부를 확인합니다. 현장감리는 준아키텍츠의 염윤지팀장이 나왔습니다. 현장 감리 후 점검 내용을 공유해 주었습니다. 아래는 현장감리 요약한 내용입니다. 대지경계선에서 건축물 위치(축선)까지의 이격거리 확인 및 보강근 추가요청에 대한 내용을 알려줍니다. 설계도면에 현장점검 내용을 적어서 보내 줬습니다. 현황 : 도로경계선에서 밀려남 20mm 20mm의 차이를 알려줍니다. 꼼꼼합니다. 016@200 화이트보드를 가져와서 사진으로 남겨 놓습니다. 철근의 굵기와 간격 200mm를 확인합니다. 다른 위치에서도 배근의 간격을 확인합니다. 감리 지적 보완 후 기초콘크리트 타설작업을 진행합.. 2023. 3. 6. 기초콘크리트 철근/배관 작업 기초 콘크리트 타설 전 철근과 배관작업을 진행합니다. 오늘은 철근팀과 전기팀이 같이합니다. 가운데 중정을 두고 철근 작업과 전기 배선작업을 같이 진행하고 있습니다. 기초콘크리트 거푸집 설치 모습입니다. 동바리를 위에는 철물로 고정했고, 아래는 철근을 잘라 철근못으로 고정했습니다. 사진 중간 거푸집에서 이격거리 1m를 두고 담장이 설치될 거푸집도 설치되었습니다. 담장은 힘을 많이 받지 않는 부분인지 철근이 들어간 갯 수가 많지 않습니다. 철근 구조가 약해 보여서 현장소장에게 물어보게 됩니다. 힘을 많이 받지 않아서 괜찮습니다. 그래도 약해 보이긴 합니다. 중간에 비어진 공간은 배관작업 후 되메우기 되는 공간입니다. 담장의 기초가 되는 철근 모습입니다. 2개 철근이 수평으로 설치됩니다. 북쪽에서 남쪽을 바라.. 2023. 3. 6. 철근/ 배관작업 기초단열재 경계를 따라서 철근작업이 진행 중입니다. 바닥은 콘크리트 벽돌로 수평을 맞춰놓았습니다. 2층 철골작업에는 철근을 잡아주는 플라스틱 자재를 사용했습니다. 장점만 있지는 않습니다. 2층 현장에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오른쪽 상단 튀어나온 부분이 거실이 됩니다. 거푸집을 두르니 중정 모습이 보입니다. 기초단열재 제일 상부까지 철근배근 후 콘크리트로 마감작업 됩니다. 중정으로 배관이 4개 연결되어 보입니다. 공사 완료 시점에 오른쪽에서 중정으로 연결된 배관은 밀봉하여 사용하지 않기로 합니다. 혹시라도 콘크리트 타설 후 배관이 막혔을 때를 대비해 예비 작업을 했다고 합니다. 거푸집에 동바리를 연결한 모습입니다. 길게 튀어나온 부분이 있어서 임시로 눈에 잘 보이도록 조치한 것 같습니다. 현장에서 거푸집이.. 2023. 2. 28. 이전 1 ··· 10 11 12 13 14 15 1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