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단독주택 시공과정

거푸집 안이 궁금해(동영상 포함)

by 정중동(靜中動) 2023. 4. 14.
반응형

거푸집 안쪽 공간을 살펴봅니다. 거푸집을 양옆으로 세우고, 안쪽에 단열재가 보입니다. 단열재 바로 위에는 거푸집을 잡아주는 프레타이(폼타이)가 거푸집 판재 폭에 맞춰 보입니다. 곡선면은 단열재 폭을 작게 붙임 작업을 합니다.

거푸집 내부

일체타설 시공이라 단열재를 거푸집에 밀착한 후 콘크리트 타설을 진행하게 됩니다. 외단열인 경우 거푸집과 단열재가 밀착된 면이 외부가 됩니다.  내부는 철근을 수평과 수직, 이음 등을 통해 콘크리트를 잡아줍니다. 

거푸집 내부

2층 벽체와 파라펫을 뚫었던 곳을 단열재로 다시 메꿈 처리한 마감 상태를 정면에서 확인한 모습입니다.  틈이 없도록 우레탄폼 마감처리가 되어 있습니다.

파라펫 외단열을 위한 단열재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중간을 따라 단열재가 2층 벽체까지 연결됩니다. 단열재 오른쪽은 파라펫을 위한 철근 배근 모습이 보입니다. 단열재 비어있는 공간으로 콘크리트가 타설 되어 들어가는 공간이 됩니다.

파라펫 외단열

콘크리트 벽체의 환기구입니다. 콘크리트 타설 전 배관을 설치하여 위치를 잡아 줍니다. 위치 지정이 잘 못된 경우, 메꿈 처리하고 다시 타공해야 합니다. 일을 두 번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만 많은 현장에서 두세 번 타공 하는 것 같습니다.

환기구 위치를 미리 잡아 줍니다

2층 지붕의 배근된 모습입니다. 배근된 중간에 상부 철근을 받쳐주는 플라스틱 스페이서가 보입니다.  철근은 힘을 받는 곳은 여러 가닥으로 배근된 모습이 보입니다.

2층 철근 배근 모습

철근은 벽체를 따라 힘을 받을 수 있도록 콘크리트 보가 많들어집니다.

콘크리트 보

콘크리트 보를 따라 파라펫이 올라오게 되는데, 파라펫 외단열을 위해 단열재가 지붕 평면보다 높게 올라와 있습니다. 파라펫 제작을 위한 철근이 2층 벽체에서부터 길게 연결되어 뻗어 있습니다.

파라펫 외단열을 위한 단열재 설치 모습

단열재 등급이 붙어 있는 면이 있어서 찍어 보았습니다. 단열재는 실제 단열등급과 상관없이 원하는 스티커로 붙여준다고 하는데, 이렇게 작은 현장 얘기는 아닌 것 같습니다. 단열재는 2종 1호를 사용하였습니다. 아래 사진은 동일한 등급의 단열재지만 제작업체마다 색이 조금씩 다릅니다. 흑연을 많이 넣으면 진해지는지.. 단가를 줄이면 더 허옇게 되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단열재를 선택한다면 더 진한색의 단열재를 선택하겠습니다.

같은 등급 다른색 단열재

2층 상부의 철근 배근 상태입니다. 상부는 평지붕 타설 후 철근 각재를 이용하여 박공지붕이 만들어집니다.

2층지붕

단열재 틈이 많이 보이는 곳은 우레탄폼으로 메꿈 처리하였습니다. 마음은 4면 단열재 본드를 이용해 붙임처리 하고 싶으나 우레탄폼 메꿈으로 타협하였습니다.

외단열재 우레탄폼 메꿈

콘크리트 보와 파라펫이 연결되는 부분의 철근 배근 모습입니다. 

콘크리트 보와 외단열 파라펫이 연결 단열재

철근이음과 ㄱ자 꺾임 등 굵은 철근 얇은 철근이 아래위로 교차하고 묶여 있습니다.

콘크리트 보


2층 평지붕과 파라펫 외단열재의 모습이 전체적으로 보입니다. 평지붕은 주초를 이용해 아연각관  기둥을 세운 후 박공지붕으로 공사를 마무리할 계획입니다. 

2층 철근 배근 모습

다음글 바로가기 

 

콘크리트 주택 파라펫

콘크리트 골조 작업이 끝난 현장의 모습입니다. 콘크리트 평지붕과 파라펫의 모습이 보입니다. 현장은 일체타설로 진행되어 콘크리트 타설 후 별도의 단열재 부착공정이 없습니다. 내부 콘크리

ohause.tistory.com

반응형

'단독주택 시공과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야외 욕조 만들기  (0) 2023.04.20
2층 콘크리트 타설  (0) 2023.04.17
2층 단열재/철근 벽체 배근  (0) 2023.04.06
거푸집 해체 후 리얼4  (0) 2023.03.31
거푸집 해체 후 리얼3  (0) 2023.03.3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