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

단독주택 설계 방 개수, 배치, 동선에 관한 의견

by 정중동(靜中動) 2023. 11. 6.
반응형

전원속의 내집 출연 계기가 있어 서면 인터뷰 자료를 바탕으로 사진과 내용을 추가해 보았습니다. 많은 글로 인터뷰 내용을 드렸으나 발행 잡지에는 함축적 단어로 기술되어 있어 내용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풀어서 설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62 COURTYARD 전원속의 내집 2023년 11월호 반곡중정 정중동(靜中動)
162 COURTYARD 전원속의 내집 2023년 11월호 반곡중정 정중동(靜中動)

162 COURTYARD 전원속의 내집 2023년 11월호 반곡중정 정중동(靜中動) 인터뷰
글쓴이 : 건축주

집을 짓기까지 많은 공부를 하게 됩니다. 해부도감 시리즈를 읽고, 와타나베건축탐방이나 EBS건축탐구 집 등 무수한 자료를 찾게 됩니다. 건축가를 만나 우리의 생활 패턴을 이야기했습니다. 꼭 필요한 공간은 무엇이고, 어떤 건 꼭 있어야 하는지 등

ㅁ자순환구조

반곡중정 정중동(靜中動) 설계도면 초안

ㅁ자순환구조, 크고 작은 중정, 수공간

  1. 일자형 주택과 기역자형, 디귿자형 주택이 초안 설계 되었고, 마지막으로 ㅁ자순환구조 설계안을 확정하게 되었습니다.
  2. 일자형 주택은 외부시선 차단이 어려웠습니다. 경사를 올려다보는 형태가 되는데 반대로 옆집에서는 아래로 내려다보는 형태가 되어 버립니다.
  3. 실내 주차공간을 갖춘 ㄷ자형 구조에서 변경을 거쳐 최종 ㅁ자 순환구조를 제시하였고, 저희도 흔쾌히 결정하게 되었습니다. 다만, 공사비의 문제는 예산범위 내에서 가능할 수 있도록 설계사무소(준아키텍츠 김현석 소장)에 요청했습니다.
  4. 설계도면에는 총 3개의 중정이 있었고, ㅁ자 순환구조의 가운데 중정과 물을 사용할 수 있는 수공간 중정 그리고, 주방과 연결된 세 번째 중정이 있었습니다. 각 중정의 위치와 활용도가 좋아 변경 요청하지 않고 진행하였습니다.

3개의 중정

첫 번째 가운데 중정과 거실의 모습
첫 번째 가운데 중정과 거실의 모습

  1. 첫 번째 가운데 중정은 ㅁ자구조의 가운데로 햇볕을 내부로 들이는 역할을 합니다. 빨래를 말리는 공간이 되기도 하고, 아이들 놀이터가 되기도 합니다. 별빛과 달빛이 좋은 날에는 캠핑장이 되기도 합니다.
  2. 두 번째 중정은 주방과 연결된 중정으로 냄새나는 생선을 구울 수 있는 공간입니다. 주방과 이어진 중정으로 하단에 열린 개구부를 두어 개방감을 더했습니다. 한편에 분리용 쓰레기통을 두어 외부에서 지저분하게 보이는 부분을 감출 수 있는 꼭 필요한 공간입니다.
  3. 세 번째 중정은 수공간으로 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었습니다. 작은 야외욕조를 두어 아이들 물놀이장이 되기도 하고, 반려견 목욕탕이 되기도 합니다. 온수를 설치해 좀 더 긴 시간 야외욕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야외욕조로 연결된 관은 내부에 퇴수밸브를 설치하여 동파를 방지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세 번째 수공간 중정 모습
세 번째 수공간 중정 모습

설계사가 고민했던 부분

한정된 부지에 ㅁ자 구조의 중정집은 공간의 활용이 부족하면 지나는 통로에 지나지 않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주방 공간에서 주로 활동하는 점을 건축사에게 전달하였고, 주방의 활용을 위해 가운데 중정을 늘렸다 줄였다를 고민하게 되었습니다. 대면형 싱크대와 분리된 식탁구조를 건축주가 반드시 원했기 때문입니다. 

건축주가 원했던 부분

1층 욕실과 화장실을 분리하기를 원했고 화장실, 욕실, 세탁실, 드레스룸이 같은 동선으로 연결되었으면 했습니다. 그러나 ㅁ자 구조에서 모두를 연결된 공간에 둘 수 없어 화장실을 분리하는 안을 제시해 주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