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단독주택 시공과정

기초터파기 / 인입공사

by 정중동(靜中動) 2023. 2. 24.
반응형

중앙선이 있는 소방도로와 인도가 붙어 있는 현장입니다.

동쪽에서 서쪽을 바로 보는 현장 모습으로 동쪽이 산 방향이고 서쪽을 따라 경사가 있습니다.

현장 입구에 덤프트럭 이동 시 흙 떨어짐을 줄이고자 부직포를 깔아 둔 모습입니다.

 

전기 인입작업을 위해 인도에 전기선을 펼쳐 놓았습니다.

동쪽에서 바라보는 현장

시공사 대표님이 현장 출입구에 떨이진 흙을 쓸어내고 있습니다.

도로에 있는 맨홀을 현장감독과 공사담당자가 확인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정면에서 바로본 현장 모습입니다.

이동식 화장실이 주차장 위치에 올라가 있습니다.  한동안은 이동하지 않을 수 있는 장소입니다.

대지의 높은 땅은 파서 낮은 땅과 레벨 맞추기 작업을 합니다.

 

낮은 땅에 석축을 쌓고 흙매우기 후 집을 앉히는 것도 고민했습니다.  1.2m 축대를 쌓는 공사비용이 이천만 원 정도라고 합니다. 고민 없이 주변과 어울리는 집을 짓기로 결정합니다.

정면에서 바라 보는 모습

포클레인을 이용하여 인입 구조물의 위치를 조정을 합니다.  앞쪽에 보이는 인입 구조물에는 하얀색 통신선 관로가 보입니다. 뒤쪽 인입 구조물에는 검은색 전기 관로가 보입니다.

택지지구에는 이미 통신선로와 전기선로가 매립되어 있어서 연결 작업만 해주면 됩니다.

통신인입 구조물과 전기인입 구조물 입니다.

두 개 맨홀 구조물을 보시면 덮는 입구가 사각 보이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뚜껑은 사각과 동그란 뚜껑이 있습니다. 잘못 온 건지 원래 이렇게 시공되는지는 모르겠습니다.

포클레인이 맨홀이 이동하지 않도록 흙을 덮어 고정합니다.

인입 설비를 고정하는 모습

 

위치를 고정한 인입구조물 입니다.

주변에 잘린 연결 관이 보입니다.  전기 인입을 위해 연장을 위해 사용되었던 관입니다. 

인입 구조물 모습

터파기를 한 앞쪽에서는 전기 및 통신 인입 공사를 하면서, 뒤쪽에서는 다시 터파기 공사가 계속됩니다.

포클레인을 알차게 사용하고 있습니다.

덤프트럭 위치에 부직포가 정확하게 깔려 있습니다. 

열 일하는 포클레인
반응형

'단독주택 시공과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택모형  (0) 2023.02.27
잡석다짐(동영상 포함)  (0) 2023.02.24
기초터파기  (0) 2023.02.24
대지 경계 확인  (0) 2023.02.22
중정 주택을 설계합니다.  (0) 2023.02.22

댓글